정책 수립부터 빅데이터 분석
교통·주거·경제 등 다방면 활용
서울시가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해 정책 효과를 예측하는 데이터 행정을 본격화한다.
17일 서울시는 정책 수립 초기 단계부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효과를 예측하는 행정 모델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도시공간·교통·주거복지·경제상권·문화관광 등 5대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한다. 이번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공 인프라 입지 선정, 교통 소외 해소, 주택 수급 안정, 시장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 등에서 실증적인 정책 설계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우선 정원 도시 설계에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한다. ‘도보 30분 내 모든 생활이 가능한 도시’를 목표로 지역별 인구특성과 보행 인프라 접근성을 빅데이터로 분석한다. 또 연령대별 보행속도까지 반영해 필수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정밀 진단한다.
또 빅데이터를 이용해 경전철 도입 효과도 예측한다. 신림선과 우이신설선 등 기존 경전철 노선 개통 전후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항목을 수치화해 신규 노선 타당성 평가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교통 소외지역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택 정비사업에도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해 수급 안정을 꾀한다. 재개발과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택 공급 공백과 멸실 시기를 예측해 전세 불안 등이 불거지지 않도록 정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인구·인프라·소비 데이터를 결합해 양육 친화적인 지역 특성을 분석하고 저출생 정책을 수립한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은 데이터를 통해 시민 삶을 예측하고 설계하는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며 “실효성 높은 정책 결정을 위해 데이터 행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