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총기 사고가 발생한 인천 연수구 한 아파트 단지에 경찰 수사관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들어가고 있다. 2025.7.21/뉴스1
자료 그래픽 인천 송도 총격 사건 당시 경찰의 초동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경찰은 뉴스1 취재 당시 “인질 보호를 위해 신중했다”고 해명했지만 정작 현장엔 지휘관이 없었고 매뉴얼조차 몰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인천경찰청 등에 따르면 해당 사건 112신고가 접수된 건 지난 20일 오후 9시 31분. “시부가 남편을 총으로 쐈다”는 다급한 신고가 들어왔지만, 경찰이 특공대를 투입해 아파트 안으로 진입한 건 70여 분이 지난 오후 10시 40분이었다. 그 사이 피해자는 이미 의식을 잃고 숨졌다.
당시 상황관리관이던 A 경정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다.
A 경정은 경찰서 상황실에서 무전을 대신 받으며 최대한 지휘하려 했다고 주장하며, 직원들에게 방탄복 착용 지시와 집 구조 확인을 위해 사건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에는 지휘관이 없었다. 신고 접수 70분 동안 피의자는 달아났고, 경찰은 총격으로 파손된 도어록을 열어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휴대전화 위치추적, CCTV 확인 등도 피의자 도주 이후에야 진행됐다.
매뉴얼 상에는 상황관리관이 초동대응팀과 함께 현장에 출동해 지휘관 역할을 수행하다 주무과장이 도착하면 지휘권을 이양하게 되어 있다. 상황관리관이 현장에 출동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초동대응 팀원 중 선임자를 팀장으로 지정해야 했으나 이 또한 지켜지지 않았다.
A 경정은 뒤늦게 현장에 도착해 특공대 진입조차 지휘하지 못했고, 현장 출동 매뉴얼을 숙지하지 못했던 점도 인정했다.
경찰 관계자는 “당시 가족들이 함께 있다는 진술이 있어 무리한 진입은 위험했다”며 “생명 보호를 위한 판단이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사건 현장에는 지휘관도, 매뉴얼도 없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26일 인천 송도 사제총기 총격 사건과 관련해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장 초동 조치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면밀하게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피의자 B 씨는 지난 20일 오후 인천 송도의 한 아파트에서 사제 총기로 아들 C 씨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B 씨는 자신이 거주하는 서울 도봉구 쌍문동 아파트 자택에 시너가 든 페트병·세제·우유 통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점화장치를 설치해 폭발시키려고 한 혐의도 받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