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급감에 원정출산 등 이유
“권역외상센터처럼 인프라 확충을”
전국 시군구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지역이 연간 분만 건수가 10건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인구가 감소해 임신부 수가 적고, 분만 인프라가 부족해 자신이 사는 곳에서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병원 등에서 이뤄진 분만은 23만7484건이었다. 전국 251개 시군구 중 97곳(38.6%)은 연간 분만 건수가 10건 미만이었다. 116곳(46.2%)은 연간 분만 건수가 100건 미만이었다.
군 단위에서는 강원 철원군, 충북 진천군, 충남 홍성군, 전남 강진군 등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분만이 10건 미만이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동두천시, 경북 경산시, 전남 나주시에서 분만이 10건 미만으로 나타났다.
분만 인프라가 해마다 악화하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심평원에 따르면 분만을 받는 산부인과는 2014년 675곳에서 2023년 463곳으로 줄어들었다. 2023년 12월 기준 전국 시군구 중 분만실이 없는 지역은 50곳이었다.
지역 내 의료기관 분만이 10건보다 적다고 해당 지역에서 태어난 아기가 10명 미만인 건 아니다. 거주하는 지역이 분만 취약지라 다른 지역에 가서 출산하는 경우가 많다. 의료계에서는 저출산으로 출생아 수가 줄어들면서 병원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수가(건강보험으로 지급하는 진료비)가 낮아 분만 취약지가 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체계적인 분만 인프라 확충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재훈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인력 확충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단발적으로 운영비를 지원하는 구조를 넘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권역외상센터처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mea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