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초로기 치매’의 환자의 비율이 다른 시도보다 높은 인천시가 대응책 마련을 위해 토론회를 연다.
인천시와 인천광역치매센터는 14일 오후 2시 부평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마리아 홀에서 ‘경증 초로기 치매 환자 일자리 지원 방안 정책 제안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에서는 △초로기 치매 환자의 일자리 유지 △사회적 참여 확대 △사회 인식 개선 등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초로기 치매 환자 가족인 조기현 씨와 현재 일본 넷츠 도요타에서 근무 중인 초로기 치매 당사자 탄노 토모후미 씨가 발제자로 나선다. 탄노 씨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이후에도 직장 내 역할을 지속하며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을 유지하고 있다. 기업의 이해와 지원으로 직업과 사회생활을 건강하게 이어가는 사례가 되고 있다.
인천시는 전국에서 초로기 치매 환자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2020년부터 인천광역치매센터 부설 ‘두뇌 톡톡 뇌 건강 학교’를 ‘초로기 치매 특화시설’로 지정·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다.
토론회는 치매 당사자와 가족을 비롯해 관련 기관 종사자, 기업·기관 관계자 등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인천광역치매센터 누리집(incheon.nid.or.kr)을 통해 사전 등록 후 참가할 수 있다.
신병철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초로기 치매 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진단 초기부터 사회와의 연결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치매와 더불어 살아가는 포용적 사회를 구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데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