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는 청년 36만→40.1만 11.3% 늘어…대졸 비율 38.3%
“쉬는 청년 조기 발견·맞춤형 회복 프로그램 지원해야”
ⓒ News1 DB
‘쉬는 청년’의 증가로 최근 5년간 45조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을 하지도, 구직 활동을 하지도 않고 그저 쉬는 20대 청년이 최근 역대 최고치인 42만 명을 돌파하면서, 국가적 손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이미숙 창원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연구한 ‘쉬었음 청년 증가에 따른 경제적 비용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간 쉬는 청년의 증가에 따른 비용 손실은 44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쉬는 청년의 규모는 36만 명에서 40만 1000명으로 11.3% 늘었다. 쉬는 청년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44만 8000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가 감소했으나, 2023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보고서는 “만 15~29세 청년 인구가 같은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쉬었음’ 청년의 총인구 및 청년 인구 대비 비율은 2023년부터 증가했다”고 짚었다. 실제 총인구 대비 비율은 2022년 0.75%에서 2023년 0.77%로, 청년 인구 대비 비율은 4.34%에서 4.56%로 늘었다.
‘쉬는 청년’ 인구에서 대학교 이상의 고학력자 비중이 늘고 있는 점도 경제적 손실을 키웠다. 대학교 이상 학력의 쉬는 청년은 2019년 13만 3000명에서 2023년 15만 3000명으로 15.7% 증가했다. 전체 쉬는 청년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6.8%에서 38.3%로 1.5%포인트(p) 늘었다.
‘쉬었음 청년 증가에 따른 경제적 비용 추정’ 보고서(이미숙 창원대 교수,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쉬는 청년의 임금 추정치는 취업 청년의 78.5~85.9%로 나타났다. 취업자 대비 쉬는 청년의 임금 비율이 82.7%를 기록한 2023년을 기준으로 볼 경우, 취업한 청년이 월 217만 원을 받는다면, 쉬는 청년은 180만 원 수준이다.
보고서는 “쉬는 청년의 예상 소득이 취업자보다는 낮지만 적지 않은 금액”이라며 “높은 소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이 ‘쉬었음’ 상태에 빠지면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쉬는 청년의 감소 및 취업 지원을 위한 대책으로 ‘조기발견·정보공유 시스템’과 ‘맞춤형 심리·회복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청년의 ‘쉬었음’ 상태에 대한 조기 발견과 사회적 인식 전환이 핵심”이라며 “쉬는 청년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취업으로 연계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 청년 회복형 근로장학제도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쉬는 청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내수진작,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한 신규 고용 여력 확대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