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동어시장 신축 설계안 내달 확정

  • 동아일보

코멘트

시, 설계도서 보완 협의체 구성
내달 4일 마지막 정례회의 예정
의견 수렴-보완 뒤 연말에 착공
시, 유통 종사자-수수료 등 관리… 위판 효율성-공공성 강화 기대

2030년 새롭게 문을 열 국내 최대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 조감도. 부산시 제공
2030년 새롭게 문을 열 국내 최대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 조감도. 부산시 제공
10년째 지지부진한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곳은 연근해 수산물의 30%가 거래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산물 산지 위판장으로, 1963년 문을 열었다. 낡은 시설의 개선이 시급해 2015년 현대화 사업을 위한 기본계획이 수립됐지만 예산, 설계 등의 벽에 부딪혀 왔다.

부산시는 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 실시설계 기술제안입찰 낙찰자가 선정됨에 따라 12월 착공을 위한 ‘설계도서 보완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의체는 시 해양농수산국장과 건설본부장, 부산공동어시장조합공동사업법인 대표, 수협중앙회와 5개 수협 조합장, 해양수산부 유통정책과장, HJ중공업 컨소시엄 등으로 구성되며 다음 달 초까지 매주 정례회를 연다.

총사업비 2412억 원(국비 70%, 시비 20%, 어시장 10%)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서구 남부민동 용지에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6만1971m²(약 1만8700평)의 건물을 짓는 프로젝트다. 노후화된 시설과 비위생적 경매 환경 등을 개선하는 게 목표로, 시는 지난달 HJ중공업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하고 설계도서를 보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 시와 어시장 측은 최종 설계안을 놓고 대립해 왔다. 어시장은 임시 업무시설 마련, 냉동공장 확충, 위판장 면적 확대, 공사 순서 변경 등을 요구했지만 시는 총사업비 조정이 불가피하고, 국비가 줄어들 수도 있어 사업 자체가 지연·무산될 수 있다며 맞섰다.

하지만 최근 실시설계 기술 제안 입찰 낙찰자가 선정되면서 협상 테이블이 마련됐다. 첫 회의는 14일 어시장에서 열렸다.

최종 설계안은 다음 달 4일 마지막 정례회의를 끝으로 결정된다. HJ중공업 컨소시엄은 협의체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설계도서를 보완하고 각종 인허가 등 공사 준비를 마친 뒤 연말 본격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컨소시엄이 공기를 약 4년(47개월)으로 제시한 상태여서 2030년경 공사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정연송 부산공동어시장 대표는 “현대화 사업이 오랜 세월을 거쳐 어렵게 지금 단계까지 온 만큼 이번 협의체를 통해 수요자인 어시장의 요구 사항이 충분히 반영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현대화가 완료되면 부산공동어시장은 시가 개설·운영하는 중앙도매시장으로 전환된다. 자동화 설비를 갖춘 위생적 물류 시스템으로 위판 효율성과 수산물 선도 관리 수준도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특히 시가 유통 종사자, 대금 결제, 수수료 등 주요 사항을 직접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박근록 시 해양농수산국장은 “부산공동어시장이 현대화 사업을 통해 수산물 유통거점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공성을 강화하는 한편 실사용자인 어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공동어시장#현대화 사업#시설 개선#위판장#수산물 유통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