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844km²)는 면적만 놓고 보면 서울(605km²)의 1.4배, 수원(121km²)의 7배에 달한다. 이달 기준 인구는 105만 명을 넘겼다. 올해 1월에는 인구 100만 명을 돌파한 기초지자체에 부여되는 ‘특례시’에 이름을 올렸다. 경기 수원·용인·고양시, 경남 창원시에 이어 전국 다섯 번째다.
내년 2월부터 화성시는 ‘4개 구(區)’ 체제로 전환된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화성시의 ‘일반 구’ 설치 계획을 승인했기 때문이다. 2010년 구청 설치 기준인 인구 50만 명을 충족한 지 15년 만이다. ‘자치구’는 지방선거에서 구청장을 별도로 선출하며 특별시나 광역시에 속한다. 반면 특례시 등의 ‘일반 구’는 기초지자체의 하부 행정구역으로 독립적인 자치권이 없다.
● 만세·효행·병점·동탄구 내년 신설
화성시는 2001년 군에서 시로 승격할 당시 인구가 21만 명에 불과했다. 불과 24년 만에 인구가 5배 가까이로 늘어난 것이다. 최근 5년간 평균 인구 증가율은 4%대로, 경기 지역 평균(0.7%)을 크게 웃돈다.
신설되는 구청은 △만세구 △효행구 △병점구 △동탄구다. 외국인을 포함한 구별 인구는 이번 달 기준으로 동탄구가 42만 명으로 가장 많아 화성시 전체 인구의 42.2%를 차지한다. 이어 만세구 28만6000여 명(24.5%), 병점구 17만7000여 명(18.0%), 효행구 16만5000여 명(15.2%) 순이다.
그동안 동탄 주민들은 세무, 인허가, 복지, 민원 등 행정서비스를 받기 위해 남양읍 시청까지 한 시간 넘게 이동해야 했다. 구청이 출범하면 30분이면 생활권 내에서 직접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동탄구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미래산업 경제도시’를 비전으로 삼았다. 서부 생활권의 만세구는 산업단지 배후 주거단지와 제약·바이오·자동차 등 신성장 산업이 집중돼 있다. 중부 생활권 효행구에는 7개 대학이 모여 있어 산학연 연계 네트워크를 성장 동력으로 활용한다. 동부 생활권 병점구는 융건릉을 중심으로 한 관광지 육성에 나선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권역별 행정기능 분산과 30분 생활권 구축을 통해 시민 편의를 높이고 지역별 행정 격차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구 신설은 인구 50만 명을 넘으면 행정안전부 승인을 거쳐 추진할 수 있다. 인접한 수원시는 현재 4개 구를 두고 있다. 비슷한 인구 규모의 용인·고양·성남시도 각각 3개 구를 운영 중이다. 화성시보다 인구가 40만∼50만 명 적은 안양시와 안산시에도 2개 구가 있다.
화성시는 인구 50만 명을 돌파한 2010년부터 구 신설에 관심을 보여 왔다. 구 설치 기본계획을 세운 뒤 2015년 행안부에 구 신설을 제안했고, 2019년에는 경기도를 통해 ‘화성시 구 설치 승인 건의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정부는 중간 행정조직 설치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15년간 답보 상태가 이어졌다.
구 신설이 확정되면서 화성시는 올해 9월까지 청사 리모델링 설계를 마무리하고, 연말까지 구 설치와 위임사무 관련 조례를 개정한다. 이어 조직·인사 확정과 위임사무 편성 등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내년 1월에는 부서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중교통 노선 재편, 민원 종합 안내 시스템 구축 등도 올해 안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