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공단 직원, 작업중 충돌한 드론 파편에 맞아 숨져

  • 동아일보

코멘트

전주서 용역회사직원이 시범 조종
대기질 측정 장비 운반 시험중 사고
건설현장 2015곳 석달간 점검
안전관리 부실 5372건 적발돼

전주 팔복동 드론 추락사고 현장. 전북소방본부 제공
전주 팔복동 드론 추락사고 현장. 전북소방본부 제공
전북 전주시의 한 공장에서 40대 준정부기관 근로자가 작업 중 드론 파편에 맞아 숨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공공 부문에서도 산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28일 전북경찰청과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경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의 한 공장 굴뚝 난간에서 공단 직원 김모 씨(40)가 드론 파편에 맞아 쓰러졌다. 119구급대가 신고를 받고 출동했지만 김 씨는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였다. 구급대가 응급처치를 하며 병원으로 옮겼지만 김 씨는 끝내 숨졌다.

김 씨를 가격한 파편은 드론이 굴뚝에 부딪히며 떨어져 나온 것이었다. 당시 공단은 약 10kg인 대기질 측정 장비를 드론으로 옮기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지상에서 약 50m 높이인 굴뚝 난간으로 장비를 2차례 옮긴 뒤 3번째로 장비를 실어 나르던 중에 사고가 난 것. 드론은 날개 길이 약 80cm, 자체 무게는 60kg이었다.

드론은 용역회사 직원이 조종했고, 숨진 김 씨는 사고 당시 안전모 등을 착용하고 있었다고 한다. 경찰은 드론 조종자와 공단의 과실 여부를 조사하는 한편, 김 씨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부검을 진행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전주지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도 사고 조사에 착수했다.

정부의 안전관리 대상 준정부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에 안전예산을 1253억 원 책정했는데, 이는 2023년(1511억 원)보다 20.6% 삭감된 규모였다. 2020∼2024년 5년간 한국환경공단에선 산재 사망자가 3명 발생했다.

한편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산하 기관 등 12개 점검기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건설 현장 2015곳에서 벌점, 과태료, 시정명령 등 5372건이 지적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5월 19일부터 지난달 15일까지 아파트, 건축물, 도로, 철도, 공항 등을 조사한 결과다. 지적 사항 중 추락 방지 및 가설 구조물 설치 미흡 등 안전 관리 관련이 3157건(58.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콘크리트·철근 관리나 계측 미흡 등 시공 관련이 1288건(24%), 자재 규격 미달 및 보관 불량 등 품질 관련이 385건(7.2%) 확인됐다.

#준정부기관#드론 사고#산업재해#산재 사망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