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중심으로 ‘술&다이어트’ 정보 확산
“하버드 수행 연구 아냐…결과도 과장”
안주 때문에 오히려 살찔 수도…과음 주의
ⓒ뉴시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술을 마시면 살이 빠진다’는 정보에 대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과장된 건강정보”라며 경계를 당부했다.
29일 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SNS상에 “하버드대학교 연구 결과 적당한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 담긴 게시물이 올라왔다. 이 글은 3600건 이상의 공감을 얻고 온라인에서 관련 콘텐츠가 재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개발원은 해당 게시물에 대해 “하버드의 권위를 차용해 연구 결과를 과장한 사례”라며 “실제 해당 연구는 하버드에서 수행된 게 아니라 일본 성인 약 5만7000명을 대상으로 음주 습관 변화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분석한 연구”라고 밝혔다.
개발원은 “해당 연구 결과 음주를 시작한 후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수치는 증가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됐으나 체중 감소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며 “연구자들은 과도한 음주는 여전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짚었다.
이어 “실제로 체중 감량이 고밀도 지질단백질을 높이는 연구 결과는 다수 보고됐으나 반대로 고밀도 지질단백질 수치 증가가 체중 감량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해정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알코올은 해독 과정에서 다른 영양소보다 먼저 대사되며, 이로 인해 지방이 잘 소모되지 않고 함께 섭취한 음식의 열량이 지방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커져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순수 알코올 1그램은 약 7칼로리의 열량을 가지고 있어 술 자체의 열량도 높은 편이다.
개발원은 건강정보를 생산하거나 이용할 때는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정보 생산·게시자는 근거에 기반한 정보를 생산해야 하며 거짓·과장에 주의해야 한다. 출처·날짜 제시,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 표현 사용, 이해관계나 광고 협찬 표시도 지침에 포함된다.
건강정보 이용자는 출처·목적·날짜를 확인해야 하고 비교와 검토, 합리적 의심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헌주 개발원 원장은 “건강에 안전한 음주는 없다. 음주로 살이 빠진다는 과장된 건강정보는 오히려 과도한 음주를 부추길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