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강릉 가뭄 재난사태 선포, 자연재난 사상 첫 사례”

  • 뉴스1

코멘트

정부 인력·장비 강릉에 총동원…응급지원 체계도 가동
김진태 지사·김홍규 시장 대통령에 선포 건의…범정부 대응

지난 24일 강원 강릉시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와 일대 하천의 바닥이 드러나 있다. (뉴스1 DB)
지난 24일 강원 강릉시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와 일대 하천의 바닥이 드러나 있다. (뉴스1 DB)
강원 강릉지역이 사회재난이 아닌 자연재난으로는 사상 첫 재난 사태 지역으로 선포됐다.

행정안전부는 30일 오후 7시부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 강릉시 일원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재난 사태는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포되는 긴급 조치다.

행안부 조치는 이날 강릉 가뭄 현장을 찾은 이재명 대통령의 재난 사태 선포 지시에 따른 것이다.

강원도에 따르면 강릉이 재난사태 지역으로 선포되면서 산불이나 기름 유출 등 사회재난이 아닌 가뭄과 같은 자연 재난으로는 전국 첫 사례로 기록됐다.

지금까지 재난 선포 사례는 △2005년 5월 강원 양양 산불 △2007년 12월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 △2019년 4월 강원 동해안 산불 △2022년 3월 경북 울진·삼척 산불 등 사회재난에 집중돼 왔다.

이날 오후 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강릉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책회의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와 김홍규 강릉시장은 이 대통령에게 재난사태 선포를 건의했다.

김 지사는 “인근 하천에서 물을 끌어오는 등 새로운 취수원을 마련해 2만~3만 톤의 물을 추가 공급하고 있다”며 “강릉시의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에 물을 채우기 위해 급수차로 물을 운반해야 하는데, 현재 강원도에는 지원 가능한 차량이 106대에 불과해 타시도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재난사태 선포에 따라 앞으로 강릉에는 인력·장비 등 재난관리자원이 총동원되고 응급 지원 체계도 가동된다. 범정부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정부는 주요 상수원에 추가 급수할 수 있도록 인근 정수장의 물을 군·소방 보유 물탱크 차량 등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운반하기로 했다.

아울러 관련 기관과 협력해 인근 하천수를 활용하는 등 가용한 수원을 확대 공급하고, 관련 설비도 추가 설치해 대체 수원을 적극 확보한다.

또 먹는 물 공급 확대를 위해 전 국가적 물나눔 운동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범정부 차원의 강릉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도 구성한다. 강릉 가뭄 상황에 적극 대응하고 피해를 신속히 지원하는 등 가용한 행정력을 총동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강릉 지역 주요 상수원인 오봉 저수지를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 불편을 청취했다.

이 대통령은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라”며 “식수 확보를 위해 전국적인 지원이 필요한 만큼 여유가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동체 의식을 갖고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강릉 지역 식수의 87%를 담당하는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15.3%로, 전날보다 0.4%p 낮아졌다.

강릉시는 지난 20일 계량기를 50% 잠그는 1단계 제한급수에 돌입한 데 이어, 저수율이 15%대에 들어서자 27일부터 사실상 2단계(75% 잠금)를 시행 중이다.

(강릉=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