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이장우 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이 시장은 “지역 대학, 기업, 관광공사와 협력을 통해 꿈씨패밀리 상품 산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2차 공공기관 이전 문제를 두고 입씨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 시장은 2일 시청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시의 융성에 대해 아주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일부 정치인이 있는데, 정치에 대한 기본자세가 안 됐고, 정치를 잘못 배웠다”라고 했다. 장 의원은 지난달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를 국정과제로 밝혔지만, 대전시는 준비가 안 돼 있다. 이 시장도 사실상 손을 놓았다”라며 “이전 공공기관 대전 범시민 유치위원회”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장 의원 이름을 짚진 않았으나 “정치를 젊을 때 잘 배워야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라며 “게으른 정치인이 남 탓하고 지역구 챙길 일과 국회에서 일은 안 하고 시정을 폄하하고 비난하는 데 대해선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했다. 이어 “시는 여러 기관과 이전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혁신도시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2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 모습. 이장우 시장은 “지역 대학, 기업, 관광공사와 협력을 통해 꿈씨패밀리 상품 산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시 제공장 의원은 이 시장의 발언 이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공공기관 이전 협치 제안에 이 시장은 인신공격으로 화답했다”라고 평가하며 “지난 3년의 대전시정을 평가하는 공개토론을 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 의사를 밝힌 장 의원은 이 시장과 대전한화생명볼파크 안전관리, 공공어린이재활병원 파업 같은 지역 주요 현안을 놓고 계속해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이 시장은 태풍, 산불, 홍수 등 재난 대응과 관련한 선제적 조치를 주문했다. 그는 “3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 예방 점검 확대와 안전한 작업 환경 개선에 노력해 달라”고 했다. 민관협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진흥도 요구했다. 이 시장은 “꿈씨패밀리 상품(굿즈) 판매액이 1월부터 8월까지 16억 원을 돌파했다”며 “지역 대학, 기업, 관광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상품 산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리에는 이날 취임한 최성아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이 참석해 공식 업무에 들어갔다. 별도 취임식 없이 기자실과 실, 국을 방문해 업무를 시작했다. 최 부시장은 취임 인사에서 “민선 8기 후반기 대전시정을 속도감 있고 역동적으로 이끌어 가겠다”며 “시민과 소통 역할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남 아산고와 충남대 정치외교학과,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시험을 통과한 최 부시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래전략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법무법인 내일과 창업진흥원, 이스타항공 등에서 일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