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취약한 ‘필로티 공동주택’ 3만동에 방재시설 설치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3일 14시 29분


코멘트

동별 200만 원 지원해
차단기·자동 소화기 설치키로

전국 300만 세대 이상이 화재에 취약한 방식으로 지어진 필로티(1층에 벽체가 없고 기둥만 있는 형태) 공동주택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부터 각 동별 200만 원을 지급해 화재 예방시설 설치 등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7월 전국 기준 불에 타기 쉬운 외장재가 설치되고 필로티를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공동주택이 11만6000동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전체 필로티 주택 28만 동 대비 41.4% 수준이다. 세대수로는 308만 세대였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 동(216만8000세대)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다세대주택 8만3000동(84만1000세대), 연립주택 3000동(6만7000세대) 순이었다.

18일 오전 경기 광명시 소하동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2025.7.18/뉴스1
7월 경기 광명시 소하동에서는 필로티 구조인 45채 규모 아파트 주차장에 화재가 발생하며 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중상을 입는 등 사상자가 65명이 발생했다.

필로티 구조는 주차장, 보행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필로티 주차장은 내부에 출입구가 있어 화재 발생 시 대피로가 차단되고 화재·연기가 빠르게 이동해 거주자가 탈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불에 타기 쉬운 스티로폼 등을 외벽 단열재로 사용한 곳도 많았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부터 화재에 취약한 필로티 공동주택 3만 동에 화재 방지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전기불꽃(아크)을 감지해 전원을 차단하고 화재 발생을 억제하는 아크 차단기를 설치한다. 또 1층 출입구 등에 화재 감지 시 소화 약재를 자동으로 분사하는 자동확산형 소화기도 보강한다. 이외에도 화재 감지 센서, 준불연 천장재, 1층 방화문 교체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동별 지원금은 평균 200만 원이다. 아크 차단기와 자동확산형 소화기 설치비용은 각각 40만 원, 30만 원 선으로 알려졌다. 보강 수준에 따라 소유주도 부담금을 낼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민 수용성을 고려해 보강 정도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입주민이 화재 안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일반에 공개되는 건축물 대장에 외장재, 스프링클러 등 화재 안전 중요 사항을 표기하도록 건축물대장규칙을 개정할 계획이다. 아파트마다 보유한 장기수선충당금을 화재성능 보강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선계획 조정 절차도 간소화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건축물 성능확인제도 개정안도 발의할 계획이다. 건축물 화재, 구조 등 안전성능과 설비 내구성능 등을 평가해 장기적으로는 대출·보험 등 금융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국토부 측은 “근본적인 원인을 단계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필로티#필로티주차장#국토교통부#국토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