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버스대란’ 반복될까…노사 단체교섭 결렬로 내달 ‘총파업’ 예고

  • 뉴스1

코멘트
경기 수원시 권선구 경진여객운수 차고지 모습.ⓒ News1
경기 수원시 권선구 경진여객운수 차고지 모습.ⓒ News1
경기지역 47개 버스업체가 속한 경기지역자동차노조(이하 노조)가 단체교섭 최종 결렬을 선언하고, 오는 10월 1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3일 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최근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조합)과 민영제 및 준공영제 노선 단체교섭을 여러 차례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오는 1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 노동쟁의조정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다. 또한 23일에는 조합원 1만 8000여 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지노위 조정기간은 15일이다. 노조는 파업 찬반투표가 가결되고, 30일까지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다음 달 1일 첫 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노조는 민영제 노선 근무 형태를 준공영제와 마찬가지로 1일 2교대제로 바꾸고, 동일 임금을 보장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민영제 노선에서 시행 중인 탄력적근로시간제가 하루 17시간 장시간 노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준공영제 노선의 경우, 통상임금 대법원 판결을 적용한 올해 서울버스 임금 인상액에 준하는 임금 인상률을 제시하고 있다고 노조는 밝혔다.

노조는 또 2027년까지 공공관리제를 전체 노선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한 노사정 합의를 경기도가 반드시 이행하기로 확약해 달라고 요구 중이다.

반면 조합은 민영제 노선의 탄력적근로시간제의 유지와 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다. 노사 입장차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셈이다.

노조 관계자는 “차별적 처우에 대한 개선안과 공공관리제 조기 전면 시행에 대한 사용자와 경기도의 확답이 없으면 버스 파업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노조에는 47개 업체 소속 버스 1만여대가 속해 있다. 준공영제 버스 2300여대, 민영제 버스 7100여대, 시외버스 800여대 등이다.

(수원=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