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까지 임금체불 1조3421억, 피해자 17만명…절반이 서울·경기

  • 뉴시스(신문)

코멘트

고용노동부,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분석
사업체·노동자 많은 서울·경기 수도권이 과반
“10월 지방자치단체와 대규모 체불 합동단속”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범부처 ‘임금체불 근절 대책’ 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9.02. 서울=뉴시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범부처 ‘임금체불 근절 대책’ 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9.02. 서울=뉴시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임금체불액이 1조34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서울·경기에 집중됐다.

고용노동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을 발표했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체불 현황을 분석해 지방정부와 공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누계) 임금체불 총액은 1조3421억원이다. 지난해 7월 기준 1조2261억원 대비 9.46% 늘어난 수치다.

체불 피해 노동자는 17만3057명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3540억원) ▲서울(3434억원) ▲경남(756억원) ▲부산(745억원) ▲광주(672억원) 등이었다.

특히 경기와 서울 등 수도권 체불액은 전체 절반 이상인 6974억원(52.0%)을 차지했는데, 이는 수도권에 사업체와 노동자가 집중해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627억6800만원(4.7%)이었다.

지역별로 특성을 살펴보면 서울·제주를 제외한 곳은 제조업과 건설업 체불 규모가 높았다. 서울은 운수·창고·통신업 및 건설업, 제주는 건설업 및 도소매·음식·숙박업 체불규모가 높게 나타났다.

노동부는 앞으로 매월 시·도별 체불 현황을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해 체불 예방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유진 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것은 지방자치단체이므로 자치단체와 협력해 노동권 사각지대를 줄이고 체불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10월에는 지방자치단체와 전국적으로 대규모 체불 합동 단속을 추진하고, 지방자치단체에 근로감독 권한 위임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도 빠른 시일 내 마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