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가뭄속 24년만에 도암댐 물 받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비상방류 한시 수용… 20일 시험방류
정부, 방제선 투입해 여수서 물 공급
최근 5년 전국 가뭄위기경보 2857회
“비오면 해갈” 근본대책 세우지 않아

도암호 전경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 강릉시가 수질 악화로 공급을 중단했던 평창 도암댐의 물을 다시 받기로 했다. 시는 10일 도암댐 도수관로의 비상 방류수를 한시적으로 수용한다고 밝혔다. 도암댐 물길이 다시 열리는 것은 2001년 물길이 끊긴 지 24년 만이다. 강릉시는 20일 시험 방류를 실시하고, 수질 검증에서 문제가 없으면 즉시 본격 방류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강릉에서는 최근 5년간 11차례나 가뭄 경보가 발령되는 등 가뭄 악순환이 반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릉 뿐 아니다. 연평균 5회 이상 가뭄이 반복되고 있는 곳도 전국 10여 곳에 달했다. 상습 가뭄 지역을 파악해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5년간 가뭄 경보 2857회….‘작은 가뭄’ 빈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8~2023년 최근 5년 간 전국에서 가뭄 위기경보가 2857회 발령됐다. 연평균 476회꼴이다. 가뭄 경보는 저수율·강수량·하천 유량 등이 일정 기준 이하로 떨어져 물 공급 차질이 예상될 때 내려진다.

강릉에선 이 기간 동안 총 11회의 경보가 발령됐다. 2018년 0회, 2019년 4회, 2020년 0회, 2021년 1회, 2022·2023년 각각 3회로, 해마다 편차는 있지만 반복 발생이 뚜렷했다. 5년간 30회 이상 경보가 발령된 지역도 15곳이나 됐다. 충남 홍성군(43회), 청양군(41회), 태안군(40회), 예산군(39회), 서산시·보령시·당진시(각 38회), 대구 달성군·군위군(38회) 등이다. 연평균 2회 이상 경보가 내려진 지역은 전국 119곳에 달했다.

이처럼 가뭄이 반복됐지만 비가 오면 곧 해갈되는 ‘작은 가뭄’으로 여겨져 지하댐 건립, 수원지 확충 등 큰 예산이 드는 근본 대책으로 이어지지 않은 곳이 적지 않았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2~5월 댐이나 주요 저수지의 저수율이 30%대까지 내려가도 여름철엔 50~60%까지 다시 오른다”며 “여름철 폭우가 오고 나면 가뭄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니 대책 마련에 소홀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지역의 최근 5년간 가뭄 경보 발령 횟수는 40회를 넘는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도 “봄, 가을 가뭄은 늘 있지만 ‘여름에 비가 오면 어떻게든 되겠지’라고 생각해왔다”고 했다. 이 지역의 가뭄 경보 발령 횟수도 5년간 30회 이상이었다.

● “지자체는 맞춤 대책 마련, 정부는 예산 지원”


그러나 기후변화로 폭우가 집중되거나 여름철에 비가 전혀 내리지 않는 등 극한 기후가 잦아지면서 작은 가뭄이 반복되는 지역도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5년간 가뭄으로 20만 명이 물 부족·급수 중단 피해를 입었고, 정부 복구 비용은 1425억 원에 달했다.

허창회 이화여대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지자체는 물탱크 등 원수 확보를 위한 지역 맞춤 전략을 세우고, 중앙정부는 재정 여력이 부족한 지자체를 중심으로 저수지·해수담수화 같은 대형 기반 시설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원 속초시의 경우가 모범 사례로 꼽힌다. 속초시는 지하댐 건설 계획을 세워 쌍천 제2지하댐을 행안부 재해위험지역 정비 시범사업으로 추진했고, 사업비 180억 원 중 절반을 국비로 지원받았다. 큰 가뭄이 반복된 전남 완도군 역시 중앙 부처와 협력해 해수를 식수로 바꾸는 해수 담수화 시설을 마련했다.

#강릉 가뭄#평창 도암댐#도암댐#도암댐 비상방류#작은 가뭄#가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