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기후변화 대응 위한 자원순환 사업 추진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1일 10시 26분


코멘트
인천국제공항공사 직원들이 5일 제1여객터미널 3층 출국장에서 외국인 여객에게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업사이클링 우산을 나눠주고 있다. 인천공항공사 제공
자원순환의 날을 앞둔 5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국내외 여객들을 대상으로 캠페인이 열렸다. 인천공항공사 직원들이 인천공항의 친환경 정책을 담은 안내 책자를 배부하며 자원순환 결의서에 서명해달라고 여객들에게 권유했다. ‘배출되는 폐기물이 다시 자원으로 되돌아오도록 노력하는 인천공항의 친환경 활동에 마음과 행동으로 함께 할 것을 서약한다’는 내용이다. 이 결의서에 서명한 여객들은 임직원들이 나눠주는 ‘업사이클링 우산’을 받아 들고 환한 웃음을 터뜨렸다.

이 우산은 7월부터 인천공항공사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천공항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 수거 이벤트를 벌여 모은 1300여 개의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들었다. 인천공항공사는 18일까지 여객뿐만 아니라 국민을 대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자원순환 이벤트를 진행한다. 공식 인스타그램(@incheon_airport)에서 인천공항공사의 자원순환 활동을 고르고 댓글 등을 달면 추첨을 통해 업사이클링 우산을 준다.

인천공항공사가 심각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원순환 체계를 정착시키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인천공항이 운영하는 자원회수시설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폐열을 재사용하거나 인근 열병합발전소에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8만9690t에 이르는 폐열이 발생해 약 80%인 7만1494t을 재활용했다.

오수를 정화 처리해 중수를 만들어 상수도 사용을 줄이고 있다. 자체적인 중수처리시설을 운영해 화장실과 공업용, 조경용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수처리량 대비 중수로 재활용하는 비율이 70%로 하루평균 중수사용량은 1만1000t에 달한다. 지난해 상수도 402만6200t을 절감했다.

재생에너지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태양광 발전설비를 2023년에 비해 47%나 늘렸다. 올해는 민간투자 태양광사업을 통해 15.5MW 규모를 추가했다. 현재 제2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 등에 확장형 캐노피 기반의 35MW 규모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2040년까지 태양광 발전설비를 210MW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대규모 건설공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도 대부분 재활용한다. 2터미널을 확장하는 4단계 건설공사를 진행하던 2023년 재활용업체 5곳과 ‘폐아스콘 재활용 처리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재생 아스콘 7만5000t을 만들어 사용했다.

공항지역의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해 2터미널 버스 차고지에 수소교통 복합기지를 추진하고 있다. 수소를 사용하는 차량의 충전과 정비 세차 주차 등이 가능한 통합 인프라로 내년에 운영을 시작하도록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밖에 석유가 아닌 동식물성 바이오 기름, 합성 원유 등에서 추출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AF는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대한항공 인천~도쿄 하네다 노선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SAF로 6개 항공사가 50여 회에 이르는 상용 운항을 실시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공항 운영을 위해 자원 순환 정책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인천공항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