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소상공인 5년 생존율이 40% 수준에 그친 가운데 정책 자금도 이용 액수도 8개월 만에 7000억 원을 넘어섰다.
22일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제주에서 새로 문을 연 사업체 1만4629곳 가운데 2023년 말까지 살아남은 곳은 5892곳(40.3%)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 폐업 비중(28.2%)이 가장 컸고, 이어 숙박·음식점업(26.6%), 서비스업(15.5%) 순이었다.
이에 따라 제주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저금리 융자는 올해 8월 기준 1만3612명의 소상공인이 7740억 원을 빌렸다. 여기에 △희망 더드림 긴급 특별보증 500억 원 △소상공인 버팀목 특별보증 45억 원 △골목상권 살리기 특별보증 275억 원 △창업 두드림 특별보증 178억 원 등의 보증 지원이 이뤄졌다.
아울러 제주도는 전국 최초 최대 10년 장기분할상환제를 도입해 과도한 이자 비용 감경,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보증수수료 감면 등을 진행하고 있다. 8월 기준 240건, 50억 원의 이용 실적을 기록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8월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와 전통시장 체감지수가 상승하는 등 경제 상황에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금융 지원 정책을 발굴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해 경영안정지원 융자 1조2060억 원, 특별보증 1100억 원을 지원한 바 있다.
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