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23일 박진 전 외교부 장관 참고인 조사”

  • 뉴시스(신문)

코멘트

특검팀 “박 전 장관의 재임 시기가 겹치는 게 있어”
이종섭·김계환·이노공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예정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09.17. [서울=뉴시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09.17. [서울=뉴시스]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의 도피성 호주대사 의혹을 조사하는 특별검사팀이 오는 23일 오전 10시께 박진 전 외교부장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밝혔다.

정민영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 특별검사보는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전 장관은 2022년 5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외교부장관으로 직무를 수행한 바 있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논의는 2023년부터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박 전 장관의 재임 시기에 있었던 호주대사 관련 대통령실의 지시 사항 및 외교부 조치 사항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박 전 장관에 대한 첫 조사라면서 “시기가 약간 겹치는 것 있어 확인하는 차원”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 장관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부터 수사를 받던 중 호주대사로 임명돼 도피성 출국을 했다는 의혹의 당사자다.

범인도피죄는 범인을 숨겨주거나 도피하도록 도운 자를 처벌 대상으로 정하고 있어 이 전 장관은 지난 17일 참고인 신분으로 약 11시간의 특검 조사를 받은 바 있다.

그는 채상병 사건 피의자 신분으로 공수처의 수사를 받던 중 지난해 3월 4일 호주대사에 전격 임명됐다. 당시 이 전 장관이 출국금지 상태였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외교부는 임명에 따른 외교관 여권을 발급했다.

이 전 장관은 출국금지 조치에 대해 이의 신청을 했고 법무부는 공수처의 반대 의견에도 3월 8일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이어 3월 10일 호주로 출국했으나 국내 여론이 악화하자 11일 만에 ‘방산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명분으로 귀국했고 대사에 임명된 지 한 달이 되지 않은 3월 29일 사임했다.

특검팀은 오는 23일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과 관련해 이 전 장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호주대사 의혹과 관련해선 이노공 전 법무부차관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들은 모두 피의자 신분이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후 1시부터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소환해 조사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