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망법 위반과 컴퓨터 사용 사기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의자인 A(48·중국국적)씨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18일 경기 수원시 영통경찰서 유치장을 나오고 있다. A씨는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을 돌며 KT 기지국을 가로채는 수법으로 불특정 다수의 휴대전화에서 상품권 등 소액결제를 진행해 1억여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2025.09.18. [수원=뉴시스]
‘KT 소액 결제’ 사건의 피의자가 “‘아파트가 많은 곳으로 가라’는 중국 윗선의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사건 배후 인물과 관련해 대규모 조직의 개입 여부를 수사 중이다.
22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승합차에 싣고 수도권을 돌며 KT 가입자 정보를 빼낸 혐의를 받는 중국인 장모 씨(48)는 “(중국 윗선으로부터) ‘인구가 밀집한 곳으로 가라’는 등 지시를 받았다”며 “생활이 힘들어 500만 원을 받고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장 씨의 동선을 추적해 진술이 사실인지 대조하고 있다. 또 피해가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서초·동작, 인천 부평,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으로 확산된 사실도 수사하고 있다. 윗선 검거를 위해 인터폴에 적색수배도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KT가 폐기했던 서버의 백업 자료가 확인되면서 소액 결제 사건과 해킹 의혹의 연관성 규명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은 8일 KT와 정부기관 시스템 등이 해킹됐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당시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자체 조사 결과 침해 의혹이 없었다’고 보고한 뒤 경기 군포시와 서울 구로구 등의 서버를 예정보다 일찍 폐기해 은폐 의혹이 제기됐다.
2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KT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KT는 폐기 서버의 로그 기록(서버 활동을 기록한 데이터)이 백업돼 있음을 확인하고 이 데이터를 18일 민관합동조사단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폐기한 서버의 해킹 여부뿐 아니라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의 연관성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KT가 폐기한 서버의 소재지에서 소액결제 피해가 집중된 점을 들어 두 사건이 연관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