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질병청서 48명 이름·체질량지수 담긴 문자 오발송…“재발 않겠다”
뉴스1
입력
2025-09-23 16:33
2025년 9월 23일 16시 33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48명의 결과를 엉뚱한 사람들에게 보낸 일이 밝혀진 질병관리청은 23일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재점검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News1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48명의 결과를 엉뚱한 사람들에게 보낸 일이 밝혀진 질병관리청은 23일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재점검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질병청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질병청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2건 발생했다.
우선 지난달 1일 국민건강영양조사 1개 지역 조사대상자 48명의 전체 결과지가 담긴 문자가 24명에 오발송됐다.
이 문자에는 48명의 이름,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와 결과지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링크(URL)가 포함됐다.
질병청은 당일 사고를 인지한 즉시 문자를 받게 된 24명에 삭제를 요청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URL도 바로 차단했다.
이후 정보가 유출된 48명에게 전화와 문자 등으로 유출 항목과 시점·경위, 기관의 대응 조치 등을 알렸다. 통지는 유출 사고 후 72시간 이내 완료됐다.
이보다 앞선 6월 25일에는 한국희귀질환재단 주관의 ‘희귀질환 유전상담’ 심포지엄에 배포된 자료집 100부에 환자의 개인정보 일부가 유출됐다.
자료집에는 환자 10명의 이름과 의심되는 질환명, 검사 결과가 담겼다. 당시 발표를 준비하던 연사가 실수로 환자 정보를 미삭제한 채 자료를 만들어 인쇄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장에서는 개인정보가 삭제된 자료 화면을 소개했으나, 질병청은 심포지엄 개최 다음날 자료집에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인지했다.
질병청은 재단과 개인정보 유출 경위를 파악하고 자료집을 회수했다. 정보가 유출된 환자에 상황을 설명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시스템에도 신고했다.
질병청은 보도설명자료를 내 “두 건을 적발, 인지했으며 이후 관련 법령과 지침에 따라 조치 완료했다”고 전했다.
질병청은 “전산장애, 사이버공격 등에 따라 발생한 게 아니며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번호, 전화번호 등의 유출사실은 없다. 향후 이런 유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상행위 관리체계 강화,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운용부서 전수점검, 전직원 교육(사고사례 포함), 유출시 대응절차 재교육 등 개인정보 보호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어차피 촉법소년이라 괜찮다?”…놀이처럼 번지는 10대 범죄
독립운동가 후손들, 독립기념관서 추석 차례 지내
허위 프로필에 환불 거부까지…결혼 중개 소비자피해 5년간 2000건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