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미성년자 노리는 약취·유인 매년 증가…구속률은 여전히 저조
뉴시스(신문)
입력
2025-09-23 20:02
2025년 9월 23일 20시 02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미성년자 유괴 지난해 144건…2020년 104건 대비 증가
피의자 성별·나이 31~40세 남성이 가장 많아
구속 비율은 저조…2020년 196명 중 6명뿐
초등학생 납치 미수 등 아동 대상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12일 대구 동구 한 초등학교 앞에서 동촌지구대, 기동순찰대가 예방 순찰을 하고 있다. 2025.09.12 뉴시스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약취·유인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피의자의 구속 비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약취·유인(미수 포함) 사건은 2020년부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04건 ▲2021년 115건 ▲2022년 133건 ▲2023년 134건 ▲지난해 144건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8월까지 집계에서 이미 98건을 기록했다.
피의자 성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남성 197명(68%), 여성 93명(32%)이었다. 피의자의 나이는 31~40세가 69명으로 전체의 24%를 차지했으며 41~50세 51명(18%), 21~30세 46명(16%) 순이었다.
반면 미성년자 약취·유인 피의자의 구속 비율은 한 자릿수로 저조한 수준이다. 지난 2020년 검거된 196명 중 구속된 피의자는 6명으로 단 3%에 불과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60명 중 5명 ▲2022년 77명 중 7명 ▲2023년 120명 중 10명 ▲2024년 83명 중 7명이 구속됐다.
한편 경찰청은 지난 12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를 미성년자 약취·유인 예방 총력 대응 기간으로 지정했고, 경찰력을 총동원해 순찰을 강화하는 동시에 관련 신고·범죄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이 정도면 쓰레기 아냐?”…유통기한 지난 추석 선물에 충격
우상호 “대통령실·與 속도차 날 때 고민…개혁은 시끄럽지 않게”
“정치적 제스처” vs “중국 견제” 트럼프 바그람 기지 반환 요구 둘러싼 논란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