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가운데)이 24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교원노조 및 교원단체 오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9.24/뉴스1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교원단체 대표들과 만나 현장과의 소통을 약속했다. 교원단체는 교권 보호와 고교학점제 등 현장의 핵심 현안을 거론하며 교육부와의 협력을 요구했고 최 장관은 “현장 출신 장관으로서 교사들이 보람 있게 일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직접 소통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최 장관은 24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이보미 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 허승대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이사장, 천경호 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 박영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대표, 강주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등 교원단체 6명과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교육부에서는 책임교육정책실장과 교원학부모지원관, 교원양성연수과장이 배석했다.
최 장관은 참석한 교원단체장들과 인사를 나누며 “현장 출신 교육부 장관으로서 끝까지 현장의 목소리를 가까이서 듣고 실현해 나가겠다”며 “우리 아이들을 직접 지원하는 일, 그리고 교사들이 보람 있게,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대통령께서도 과도한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하루아침에 이뤄지긴 어렵지만 교원단체가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인공지능(AI) 교육과 관련해 “AI 시대로 가는 방향은 맞지만 AI 인재 양성과 우리 학생들이 모두 AI를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두 가지 모두 중요한 과제니 함께 도와가자”며 협조를 요청했다.
교원단체 대표들은 교권 보호와 고교학점제를 최우선 현안으로 꼽았다.
이보미 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육부에도 고교학점제 자문단이 만든 권고안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교육 지원단체와 또 교육 주체들이 다 전문가들이 하나가 돼서 안을 만든 만큼 그 권고안을 기반으로 해서 정책 제안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박영환 전교조 위원장은 “교사들이 악성 민원에 시달리는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어떤 정책도 학교에서 구현되기 어렵다”며 교권 보호 대책을 촉구하고, 고교학점제는 폐지를 전제로 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주호 교총 회장은 “새 정부 교육정책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외에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우려가 크다”며 “국민과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 비전과 실행 로드맵을 서둘러 달라”고 말했다. 또 청문회 과정에서 제기된 정치적 편향성 논란과 관련해 “교총 방문을 통해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최 장관과 교원단체들은 실질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교육 현안과 교권 문제를 놓고 향후 교육부와 교원단체 간 소통이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