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8일 첫 출항한 한강버스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선착장에서 출발해 운항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서울시가 29일부터 한 달간 ‘한강버스’의 일반 승객 탑승을 전면 중단한다. 무승객 시범운항만 해 최근 거듭된 운항 문제를 점검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8일 “한강버스의 성능 고도화와 안정적 운항을 위해 한 달 동안 실제 승객을 태우지 않고 시범운항을 반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강버스는 18일 첫 운항을 시작했지만 열흘 동안 방향타 이상, 전기 계통 미세 결함 등 크고 작은 장애가 발생해 운항을 멈추는 상황이 이어졌다. 시는 반복된 결함을 조기에 점검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시는 무승객 시범운항 기간 선체와 방향타, 전기·기계 계통의 통합 성능을 최적화하고, 제작사와 협업해 문제 재발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미 기후동행카드에 5000원을 추가해 한강버스 정기권을 구매한 시민은 전액 돌려받을 수 있다. 환불 절차는 티머니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개별 안내된다.
한강버스는 18일 운항을 시작한 이후 기계 결함 등 수차례 논란에 휩싸였다. 20일에는 폭우로 팔당댐 방류량이 급증하면서 운항이 임시 중단됐고 22일에는 전기 계통 이상으로 일부 선박이 멈췄다. 26일 강서구 마곡선착장에서 잠실로 가던 한강버스가 방향타 결함으로 출항 직후 회항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시민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폭우 같은 날씨 문제로 못 다니는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이라 홍보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강버스를 더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시민에게 불편을 드려 사과 말씀 전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