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전소된 96개 전산 시스템과 정부 서비스 목록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 중에는 재난정보, 안전, 민원 접수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공공 서비스가 포함돼 있는 데다, 복구에는 한 달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시민 불편이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들 서비스를 국정자원 대구 분원의 서버로 옮겨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기로 했다.
● 96개 서비스, 대구 분원으로 이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 화재로 가동 중단됐던 647개 정부 서비스 가운데 서버가 전소되면서 장기간 가동이 어렵게 된 96개 서비스를 대구 분원으로 이전해 가동한다고 밝혔다.
전소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안전디딤돌, 통합보훈 등 1등급 핵심 서비스 4개와 국민재난안전포털, 노사누리, 사회복지시설정보 등 2등급 서비스 10개가 포함됐다. 공직자 문서 작성·결재·메일을 담당하는 온나라시스템의 통합 업무 전산망 ‘클라우드 온나라’(2등급)도 피해 목록에 올랐다. 이 밖에 법령 조회, 민원접수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가 다수라 불편이 장기화될 경우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피해 시스템을 대구 동구 도학동에 위치한 국정자원 분원에서 새로 구축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재개하기로 했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 등 두 곳의 분원에서 약 1600개 전산시스템을 분산 운영한다. 광주 분원이 경찰 112 신고·법무부·국세청 등 사법·세무 시스템을 맡아 서버 등에 여유가 부족하다. 반면, 대구 분원은 현재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리·인공지능(AI) 공통기반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구역도 갖추고 있어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도 신규 서버 설치와 확장이 용이하고 복구 속도가 빠르다. 대구 분원이 이전지로 결정된 이유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일각에서 보안 우려가 있지만, 대구센터는 배터리와 서버실이 분리된 구조로 안전성이 높다”며 “국가 보안 요건에 맞춰 망 분리 등 보안 체계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 복구까지 한 달… 대체 서비스 운영
정부 서비스 복구에는 한 달여가 소요될 전망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대구 분원에서의 시스템 재구축은 준비 2주, 설치 2주 등 약 4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입주기업과 협력해 최대한 일정을 앞당기겠다는 게 정부 목표다.
화재 피해를 받지 않은 나머지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다. 29일 오후 10시 기준 81개 서비스가 정상화됐다.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와 정부24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 등이 우선 복구됐다.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1차관은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가 수기 처리 절차를 마련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장애 안내 문자를 빙자한 스미싱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경찰청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