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 호텔 서울에서 열린 거점국립대 총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09.30. [서울=뉴시스]
이재명 정부의 대표 교육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기본 계획이 발표됐다. 정부는 9개 지방 거점 국립대를 특성화 연구 대학으로 육성하고 학부 단계에서 인공지능(AI) 기본 교육 등 기초 역량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30일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지방 거점 국립대 총장 간담회를 열고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지방대 육성 방향’을 논의했다. 교육부는 “지방 거점 국립대의 경쟁력을 높여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고 국가 균형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서울대 10개 만들기’ 관련 계획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먼저 정부는 지방 거점 국립대의 학부, 대학원, 연구소를 하나로 묶어 특성화 연구대학으로 지원하고, 우수한 인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방 정주 여건을 강화할 예정이다. 학부 교육 과정에서도 AI 교육 프로그램, 해외 대학과의 글로벌 교육 과정, 기업 현장과 연계한 교육 등을 확대한다.
최교진(왼쪽 여섯번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 호텔 서울에서 열린 거점국립대 총장 간담회에 참석해 정재연 강원대 총장, 허영우 경북대 총장,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 최재원 부산대 총장, 이근배 전남대 총장, 양오봉 전북대 총장, 김일환 제주대 총장, 고창섭 충북대 총장, 김정겸 충남대 부총장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9.30. [서울=뉴시스]정부는 이 같은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해 앞으로 5년 동안 4조 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정부 주도로 대학에 특정 사업에 대한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은 모두 실패했는데 이번 구상도 마찬가지”라며 “지방 거점 국립대가 연합체를 만들어서 대학이 스스로 전략을 세우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정부가 발표한 구상은 이미 기존에 글로컬 대학과 라이즈(RISE·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하고 있던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