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부 공식 출범…“재생에너지 5년내 100GW로 확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10월 1일 15시 03분


코멘트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CEO 조찬 간담회에서 새정부 기후에너지환경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5.10.01. [서울=뉴시스]

기존 환경부를 확대 재편한 기후에너지환경부(기후부)가 1일 출범했다. 기후부 초대 장관으로 취임한 김성환 장관은 “재생에너지는 세계적으로 이미 가장 값싸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이 됐다”며 “현재 누적 34GW 수준의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100GW(기가와트) 수준까지 대폭 늘리겠다”고 말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김 장관은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명확한 탈탄소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기후정책은 총괄 기능이 환경부에, 감축 수단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있어서 추진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본격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김 장관은 2030년까지 설비 용량을 100GW까지 대폭 늘린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지난해 기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34GW이고, 현행 2030년까지 목표치는 78GW다. 김 장관은 “늘어난 재생에너지는 햇빛 연금, 바람 연금, 마을 연금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소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이른바 ‘에너지 고속도로’ 등을 통해 화석에너지 중심 전력망도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 전력망으로 대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온실가스 배출권 유상 할당 비중을 확대하고 늘어난 수입금을 기업 탈탄소 전환에 재투자해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이익으로 직결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산업 육성도 방향으로 제시됐다. 태양광·풍력·전기차·배터리·히트펌프·가상발전소(VPP) 등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녹색금융 확대와 ‘탄소중립산업법’ 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기후부는 산업부 에너지 부문 중 자원 담당을 제외한 부분이 환경부로 이관된 형태다.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구성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김성환#재생에너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