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고창 지역구인 윤준병 의원
“대한체육회가 문체부와 협의 안해
10곳 연대 계획, 이미 부적격 판정”
전북도, 계획 조정 단계라며 반발
“한목소리 내야지 찬물 끼얹나”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시스
전북도가 2036 전주 여름 올림픽 유치를 추진 중인 가운데 지역과 정치권에서 이를 둘러싼 파열음이 나오고 있다. 정읍, 고창이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은 전주 올림픽 계획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북도는 “사실과 다르다. 대화하는 과정”이라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윤 의원은 지난달 28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대한체육회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사전협의 없이 자체 공모를 통해 올림픽 유치 도시로 전주를 선정했고, 현재는 ‘IOC 개최지 요건’과 ‘기획재정부 승인 요건’ 등을 구비하지 못한 상태임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체육회와 전북이 최종 작성해 제출한 ‘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전국 10개 지자체 연대를 구성해 하계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은 이미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도 지적했다.
전북에 지역구를 둔 여당 의원이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추진을 비판하는 모양새에 파장이 커졌다.
윤 의원은 자신의 글로 논란이 커지자 1일 전북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마치 올림픽 유치에 대한 이야기가 신성불가침처럼 돼 있다”며 “SNS에 글을 올린 것은 나만의 소통방식이다. 유치 과정에서 개선된다면 올림픽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면서 “현재 전북은 올림픽 유치신청서도 제출하지 않은 상태이고 사전타당성 용역도 뒤늦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북도는 반발했다. 유희숙 전북도 올림픽유치단장은 1일 “문체부와 대한체육회, IOC가 제안한 부분까지 총 심사숙고하고 검토·조정하는 단계“라며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올림픽을 오히려 개최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 단장은 “유치신청서 제출은 현재 우리가 국내 후보 도시로 결정되면서 대화 단계에 들어가 사라졌고 논의 후 집중대화단계로 접어드는 방식”이라며 사전 타당성 조사는 한국스포츠과학원이 막바지 진행 중으로 숙소·수송·경기장 등 실무 항목은 수시 보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올림픽 유치를 위해) 한목소리를 내야 하고, IOC에 대응해서 개최도시로 선정되는 길을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도 “IOC와 두 차례 회의했고, IOC의 요청에 따라 회의 내용은 비공개”라며 “IOC가 국내 언론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상황에서 ‘부적격 판정’이라는 표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 신뢰 관계상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윤 의원을 비판했다. 김 지사는 “도민이 간절한 열망을 갖고 있는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건 분명하다”고도 했다.
지역 언론도 가세했다. 전북일보는 1일 ‘전북의 고질병 적전분열’이라는 칼럼을 통해 “지역에서 사활을 걸다시피 하고 있는 올림픽 유치 문제에 대해 윤 의원은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메가톤급 펀치를 날렸다”며 “전북 출신 의원이 공개적으로 이 시기에 적전분열처럼 비칠 수 있는 정치를 한 것은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지난달 16일 전북도청에서 “전북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030년 전주 하계 올림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민주당에서도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