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기차 확대 현실화… 애프터마켓 체계 마련”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7월 15일 12시 31분


코멘트
전기차 확산에 따라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의 구조가 급격히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새로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내연기관차 중심의 기존 정비 인프라가 점차 무력화되는 상황에서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비·유지관리 산업의 육성, 중고차 신뢰 체계 정비 등 새로운 서비스 모델 부상이 시장 향방을 가를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기차는 구조적 특성상 모터·배터리 외에는 개별 정비 여지가 적고, 일반적인 고장도 적어 기존 정비산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업계는 전기차 배터리를 ‘주요 자산’으로 인식하고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관리 체계를 마련한다.

15일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SK렌터카 오토옥션에서 진행된 ‘2025 대한민국 모빌리티산업 심포지엄’ 행사에 참석한 배성호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총괄과장은 “전기차 배터리 사전인증 제도, 재제조 산업 육성, 환경부와의 역할 분담 등을 통해 사용 후 배터리의 재활용과 가치 보존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관련 산업 생태계 육성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라며 “현재의 성능점검 체계를 전기차 특성에 맞춰 재도입하고, 보험 시스템과 연계한 객관적인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정비함으로써, 소비자 신뢰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배 과장은 미래모빌리티의 핵심 분야로 떠오른 자율주행 관련된 정부 계획도 언급했다. 렌터카 산업은 자율주행 기술과 결합해 애프터마켓 산업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배 과장은 “렌터카는 이미 차량 유지관리, 운영 최적화, 비용 효율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탁송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수요 창출과 공간 제약 해소 등 전례 없는 서비스 모델을 현실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원격 운전 기술 실증을 진행 중이다. 업계는 “간단한 장비로도 원격 운전이 가능하다면 이를 통해 렌터카 산업의 기술적 혁신이 급속히 진행될 수 있다”며 “렌터카는 비교적 제도적 여지가 있는 영역이므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긴밀히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는 제언도 나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