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는 차세대 바디 기술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적용한 ‘더 기아 PV5(이하 PV5)’를 앞세워 PBV(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17일 밝혔다.
플렉시블 보디 시스템은 차체·도어·테일게이트 등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차종을 유연하게 개발·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화 기술이다. 기아는 이 기술을 PV5에 최초로 적용해 다품종 차량 개발에 최적화된 설계 유연성과 생산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유지보수 편의성을 갖췄다.
PV5는 전면부와 1열 구조를 공용부로, 그 이후 구조는 변동부로 설계해 리어 오버행·테일게이트·쿼터 글라스·루프 등을 선택 조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아는 최대 16종의 보디 구성이 가능한 체계를 만들었다. △패신저(롱) △카고 컴팩트(3도어 또는 4도어) △카고 롱(3도어 또는 4도어) △카고 하이루프(3도어 또는 4도어) 등 7종의 기본 보디를 개발했다.
차체 측면에는 성형이 쉬운 플라스틱 복합재 기반의 조립형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를 적용해 차량 용도별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 또, 충돌 또는 스크래치 발생 시 손상 부위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차체 강성 확보를 위해 외골격 환형 구조 및 롱보디 모델에는 외골격 듀얼 환형 구조도 적용됐다.
2열 슬라이딩 도어 및 쿼터 글라스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측면 스틸 패널은 단 2종의 금형으로 다양한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생산 효율을 높였다. 실내 러기지 사이드 트림도 7종으로 운영된다. L-트랙 마운팅 등 사용자 맞춤 구성이 가능하다.
기아는 이달 중 PV5 패신저 5인승과 카고 롱 모델의 양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델을 순차 출시하고, 2027년에는 대형 PBV 모델로 제품군을 확대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