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석기-철기에 가려졌던 ‘목기 인류’

  • 동아일보

코멘트

‘목재’는 인류 역사의 핵심 재료… 돌 이용해 ‘나무 무기’ 제작 추정
18세기 영국-프랑스 패권 다툼
전함 건조에 쓸 목재 확보가 관건… 나무 풍부한 佛해전서 압승 거둬
◇나무의 시대/롤랜드 에노스 지음·김수진 옮김/444쪽·3만2000원·더숲

절벽을 깎아 만든 ‘돛대의 길’. 18세기 선박 건조에 필요한 목재를 운반하는 데 사용됐던 길이다. 돛대에는 전나무 줄기가, 노에는 너도밤나무가, 도르래에는 회양목이 사용됐다. 사진 출처 tourisme64 홈페이지
프랑스 피레네산맥에는 절벽을 깎아 만든 좁은 길을 걸어야 하는 종주 코스가 있다. 이름은 ‘슈맹 드 라 마튀르(Chemin de la Mâture).’ 번역하면 ‘돛대의 길’이다. 인적 드문 산을 깎아서 왜 이런 길을 만들었을까. 또 이름은 왜 돛대의 길일까.

때는 18세기. 프랑스와 영국은 식민지를 둘러싸고 패권 다툼을 벌였다. 더 크고 강력한 해군 전함을 앞다퉈 건조했다. 관건은 전함을 만들 목재를 어떻게 확보하느냐였다. 뭣보다 아파트 20층쯤 되는 최대 61m 높이의 돛대를 만들 ‘크고 곧은’ 나무가 핵심이었다.

프랑스는 그 해결책을 피레네산맥 깊은 곳에서 찾았다. 사람이 좀처럼 쉽게 다닐 수 없다 보니, 거대한 전나무 숲이 그대로 보존된 야생 지역이었다. 1772년 프랑스는 절벽 가장자리를 따라 좁은 길을 깎아냈다. 이 길을 통해 돛대용 목재를 비롯해 다양한 용도의 나무를 절벽 아래로 실어 내려왔다.

반면 영국엔 돛대를 만들 만한 침엽수가 거의 자라지 않았다. 결국 발트해 연안에서 수입한 상대적으로 작은 나무들을 활용해 조립식 돛대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 여러 개의 작은 통나무를 쇠고리로 이어 붙이는 방식이라 구조적으로 취약했다. 당연히 내구성도 떨어져 전투 중 쉽게 부러졌다. 실제로 당시 양국의 주요 해전은 프랑스가 영국을 제압했다. 1779년 그레나다 전투는 영국 해군의 가장 큰 참패로 기록돼 있다.

이처럼 ‘목재’는 인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재료였다. 영국 헐대학교 생물과학과 객원교수인 저자는 문명의 여정을 지탱해 온 핵심 소재로서 나무를 조명한다. 인간이 진화하고 세상이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지금에 이를 때까지 6000만 년이 넘는 여정에서 나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흥미롭게 추적한다.

특히 이 책은 돌·청동·철이라는 세 가지 재료를 중심으로 인류 역사를 구분해 온 전통적 서사에서 벗어나려는 인식이 핵심이다. 1831년 덴마크 고고학자인 크리스티안 톰센이 돌·청동·철에 따라 인간의 시대를 분류하는 개념을 도입한 이래, 이 방식은 인류학과 고고학의 주류가 됐다.

하지만 저자는 인류와 가까운 친척인 유인원이 대부분의 도구를 돌이 아닌 나무로 만든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초기 인류 역시 유인원에게서 목공 기술을 이어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즉, 최초의 도구는 돌이 아니라 나무였을지도. 다만 오늘날까지 남은 인공 유물이 대부분 석기나 금속이다 보니 이들의 중요성이 과도하게 부각됐을 수 있다. 나무의 역할이 역사에서 상대적으로 지워져 버린 셈이다.

저자의 눈은 나무와 돌의 공존으로 향한다. 머나먼 옛 선조들은 오히려 석기를 이용해 ‘나무 도구’를 만들었을 것이란 인식이다. 최초 인류의 직업은 ‘목수’였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2001년 탄자니아에서 발굴된 160만 년 전 페닌즈 유적지에서 나온 손도끼와 박편의 날 주변에선 아카시아의 옥살산칼슘 결정이 발견됐다. 손도끼가 목공 작업에 쓰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흔적이다. 나무 창을 깎는 데 석기를 이용했다는 건 인류의 지적 능력에도 중대한 진보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지고 보면, 나무의 쓰임새는 참 다양하다. 큰 구조물을 떠받치는 거대한 부재도 될 수 있고, 이쑤시개 같은 자그마한 도구를 만들 때 쓰일 수 있다. 나무는 얼마나 다재다능한 재료인가. 잠시 세상을 ‘나무 중심’으로 바라보자. 관점의 변화는 삶의 차이를 이끌어낸다.

#목재#피레네산맥#슈맹 드 라 마튀르#돛대#석기#목공 기술#나무 도구#인류 역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