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아동인구 700만명 선 붕괴…10년 새 230만명 넘게 줄어

  • 뉴스1
  • 입력 2025년 1월 20일 06시 00분


코멘트

작년 만 18세 미만 주민등록인구 688만명…전년比 2.8%↓
아동인구 비중 18→13.4%…“저출생 추세 반전 여부 주목”

대구 도심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겨울옷을 챙겨입은 학생들이 등굣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뉴스1
대구 도심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겨울옷을 챙겨입은 학생들이 등굣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8세 미만 국내 아동인구가 700만 명 밑으로 내려온 것으로 집계됐다.

저출생 흐름이 가시화함에 따라 아동인구가 10년 새 230만 명 이상 줄어든 셈이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주민등록 기준 0~17세 인구는 총 687만 6330명으로 전년(707만 7206명) 대비 2.8%(20만 876명) 감소했다.

아동인구는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 2019년(792만 8907명) 처음 700만명대로 내려온 아동인구는 2020년 771만 946명, 2021년 748만 3944명 등으로 줄었다.

이후 2022년 727만 1460명, 2023년 707만 7206명 등으로 내려왔고, 지난해에는 700만 명 선까지 깨졌다.

특히 2014년(918만 6841명)과 비교하면 아동인구가 10년 사이 25%(231만 511명) 이상 줄어들었단 의미이기도 하다.

그 결과 전체 인구에서 18세 미만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18%에서 지난해 13.4%로 4.6%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2015년 1.24명을 정점으로 재작년 0.72명까지 8년 연속 내리막을 걸은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현재로서 지난해의 경우 합계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했을 것이란 관측이 많지만, 당장 아동인구 급감 추세를 변화시키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0월 누계 출생아 수는 19만 9999명으로 전년 동기(19만 6193명) 대비 3806명 증가했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해 12월 열린 인구비상대책회의에서 “2024년 합계출산율은 당초 예상했던 0.68명을 훨씬 상회하는 0.74명 수준으로 전망되고, 출생아 수는 2015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증가해 23만 명대 후반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혼인 건수가 늘었던 영향으로 올해도 상반기까진 출생아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저출생 추세의 변화가 있었는지는 아직 장담할 수 없어 하반기 이후 상황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