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2.75% 동결
“밝아질 때까지 속도 조절 필요”… 경제 불확실성-환율 부담에 동결
“올해 성장률 1.5%보다 낮을 것”… 내달 금리 0.5%P 빅컷 가능성도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사진공동취재단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視界) 제로’ 상황에 빠진 가운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 밝아질 때까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1분기(1∼3월) 역(逆)성장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5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6명의 금통위원 중 신성환 위원만 0.25%포인트 금리 인하 의견을 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졌고, 환율이 불안정해진 탓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보편관세 부과 후 원-달러 환율이 1410∼1480원대에서 출렁이고 있는데, 미국과의 금리 차(현 1.75%포인트)가 더 벌어지면 원화 유출에 속도가 붙어 가치가 더 떨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 셈이다. 이 총재는 “미국 관세정책의 강도, 주요국의 대응이 단기간에 급격히 변해 현재 전망의 기본 시나리오조차 설정하기 어렵다”며 “거주자 해외증권 투자와 외국인 국내 주식 순매도가 이어지며 외환 수급 부담도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국제 정세 변화를 “어두운 터널에 들어온 것 같다”고 비유했다. 금리를 동결하고 상황을 지켜보자는 취지다. 이 총재는 “16일(현지 시간) 캐나다 중앙은행도 금리를 동결했는데, 거의 비슷한 이유로 동결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다만 악화된 경기 상황에 대한 우려는 숨기지 않았다. 이 총재는 “1분기 성장 부진을 감안할 때 올해 연간 성장률은 2월 전망치 1.5%를 하회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의 관세정책이 2월 전망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강화된 것도 성장률을 낮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전망이 낙관적이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다음 주 국제통화기금(IMF)이 새 전망을 발표하는데 한은이 파악하기로는 상당 폭 낮출 것”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내수 부진이 더해졌다. 한은은 “대형 산불, 일부 건설사의 공사 중단,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 이연 등의 요인을 반영하면 1분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5월 이 같은 요소를 모두 반영한 수정 경제 전망을 내놓는다.
이에 5월 29일로 예정된 다음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한 번에 0.5%포인트 인하하는 ‘빅컷’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총재는 “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전원이 향후 3개월 내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밝혔다. 2월 금통위에선 금통위원 2인이 금리정책 인하 의견을 보였었다. 이 총재는 “신성환 위원은 부동산, 환율 등의 우려가 사라지면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발표한 1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 이 총재는 “경제 성장률을 0.1%포인트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재정정책의 효과를 더하기 위해 통화정책의 지원이 시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관세 영향이 반영되지 않은 올 1분기 수출이 지난해 4분기보다 역성장하는 등 내수와 수출이 모두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재정-통화정책이 함께 이뤄졌을 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