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행사 ‘빌드 2025’ 열려
“오픈 에이전틱 웹 시대 열렸다”
나델라 CEO, AI 개방성 강조
최근 프로그래밍 업무를 담당하는 개발자를 대거 감원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딩까지 가능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를 공개했다. 프로그램 개발을 포함해 업무 전반에 AI를 활용하는 ‘AI 생태계’를 꾸리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스트랄, xAI 등 경쟁사와의 협력을 늘릴 계획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사진)는 19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행사인 ‘MS 빌드 2025’에서 “오픈 에이전틱 웹 시대가 열렸다”고 말했다. AI 에이전트가 개인이나 조직,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는 의미다.
이날 발표에서 나델라 CEO는 AI 생태계의 미래는 ‘개방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필요에 맞게 AI의 구성 요소를 맞춤 설정할 수 있는 유연한 생태계가 향후 시장을 이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MS는 다양한 AI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MS는 오픈AI에 약 18조 원을 투자하며 협력해 왔다. 하지만 이날 나델라 CEO는 xAI가 개발한 AI인 ‘그록3’를 MS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xAI는 현재 오픈AI의 영리 활동과 관련해 법적 분쟁 중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끄는 AI 기업이다. 그록3 외에도 메타의 ‘라마’, 프랑스의 ‘미스트랄’, 독일의 ‘블랙 포레스트 랩스’ 등 AI 모델도 애저에 탑재될 예정이다. 나델라 CEO는 “(AI 생태계는) 앞으로 수많은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개방형 플랫폼이 이끌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날 MS는 새로운 코딩 AI 에이전트 ‘깃허브 코파일럿’ 기능을 공개했다. 이전의 MS 코딩 AI 에이전트는 개발자가 진행 중인 작업을 기반으로 코드를 생성하는 수준이었지만, 이번에 공개된 에이전트는 개발자가 몇 가지 지시만 내리면 알아서 코드를 작성한다. 나델라 CEO는 “개발자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AI에 지시를 내리는 사람”이라며 그동안 개발자가 수행했던 코드 작성을 AI가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역시 이날 코딩 AI 에이전트인 ‘코덱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시작했다. 16일(현지 시간) 공개된 코덱스는 오픈AI의 챗GPT 프로 버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오픈AI에 따르면 코덱스는 시스코, 코디악 등 일부 기업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빅테크들의 코딩 AI 개발 경쟁이 뜨겁다”며 “MS도 이 경쟁에 본격적으로 참전하며 AI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