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경제 침체 우려에 폭락…나스닥지수 4%↓

  • 뉴시스(신문)

코멘트

다우지수도 900포인트 가까이 내려
트럼프 인터뷰로 투자 심리 크게 훼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기둔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1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가 일제히 폭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890.01포인트(2.08%) 하락한 4만1912.35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5.63포인트(2.69%) 내린 5614.56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727.90포인트(4.00%) 폭락한 1만7468.33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폭스뉴스 인터뷰로 경기 침체 우려가 증폭하면서 증시는 하락세로 개장했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5% 넘게 급락해 2022년 9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다.

S&P 500은 2월 19일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에서 8.7% 떨어졌고, 나스닥지수 역시 최근 최고치에서 약 14% 주저 앉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시적 경기 침체를 감수하고라도 관세 등 자신의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이 투자 심리를 크게 훼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방영된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자신의 경제정책 효과에 대해 “시간이 조금 걸린다”면서 올해 경기침체가 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경제 침체 우려 속에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이날 15.42% 폭락해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고, 알파벳과 메타, 엔비디아 주가도 각각 4.48%, 4.42%, 5.06% 내렸다.

모틀리 풀 에셋 매니지먼트의 셸비 맥파딘 투자 애널리스트는 “정면으로 맞서서 말하는 행정부가 생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그 목표는 고통을 야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경제 침체 우려는 지난 한 달 동안 커졌다.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일부 지표가 반응을 보였고, 최근 백악관의 발언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증폭됐다.

이런 가운데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이날 2025년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4%에서 1.7%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또 당초 예상보다 공격적인 미국의 관세 정책이 기업 투자를 지연시키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상승과 금융 여건 긴축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수석투자 책임자(CIO)는 “우리는 조작된 조정장 한 가운데 있다”며 “조작됐다고 말하는 이유는 새로운 정부의 관세 프로그램이나 최소한 관세 위협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것 인지에 대한 반응이 기반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