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유예시한 코앞 “서한이 협상 끝
25%, 35%, 50% 또는 10% 등 부과”
베선트의 ‘9월까지 연기’ 발언 일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에 관세율 등이 적힌 서한을 당장이라도 통보할 수 있다고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밝혔다. 앞서 지난달 27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8일 만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노동절(9월 첫째 월요일·올해는 9월 1일)까지 더 미룰 수 있다”고 했지만, 불과 이틀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유예 재연장 가능성에 사실상 선을 그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얼마 안 남은 것을 감안해 상대국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압박 강도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 등 주요 협상 상대국의 부담도 커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지금 당장이라도 (각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고 싶다. 그것이 무역 협상의 끝”이라고 밝혔다. 이어 “곧 서한을 보내기 시작할 것”이라며 “(다른 나라와) 만날 필요도 없다. (국가별 관세율) 숫자는 이미 다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서한을 통해 “‘이제 미국에서 무역을 할 수 있다. 25%, 35%, 50% 또는 10% 등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를 콕 집어 관세를 낮춰 주지 않을 뜻도 분명히 했다. 그는 일본에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 중인 것을 언급하며 “그런데도 우린 일본에 자동차를 거의 수출하지 못한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지난달 12일에는 “자동차 관세를 더 인상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 정부는 자동차 관세 인하를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내세워 미국과 협상 중이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내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 인도네시아 등 일부 국가와는 이미 무역 합의에 근접했고, 한국 베트남 등과의 합의도 가능하다고 보도했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
안규영 기자 kyu0@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