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올해 5월 백악관에서 함께 있는 모습. AP=뉴시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향한 입이 다시 거칠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감세법 등 중점 법안을 향해 연일 수위 높은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것. 법안에 관여한 의원들을 향한 낙선 운동을 예고하는가 하면, 신당 창당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머스크는 30일(현지시간)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선거 기간엔 정부 지출을 줄이라고 말해놓고 이제 갑자기 사상 최대폭의 재정 적자 증가에 찬성하는 모든 의원은 부끄러움에 목을 매달아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머스크는 해당 의원들을 향해 “내가 살아 생전 그들을 도울 생각이 없다면, 그 모두는 내년 경선에서 패배할 것”이라며 “지구상에서 내가 마지막으로 하는 일이 될지라도 내년 예비선거에서 그들을 떨어트릴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날 공화당을 향해 “부채 한도를 역대 최대인 5조 달러(약 7000조 원)나 늘리는 이 법안을 보면 우리가 일당 독재 국가에 살고 있음이 분명하다”며 “바로 무책임하고 탐욕스럽게 재정을 낭비하는 돼지고기 정당(PORKY PIG PARTY)!”라고 썼다.
그러면서 “정신 나간 지출법안이 통과하면 그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이 창당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민주-공화당 단일정당의 대안이 필요하다. 그래야 국민이 실질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간 균열은 지난달 급격히 커졌다. 백악관 ‘특별 공무원’ 자리에서 정식으로 물러난 머스크가 지난달 초 트럼프 대통령이 핵심 공약으로 추진 중인 대규모 감세 법안을 “역겨운 흉물(disgusting abomination)”이라며 강도 높게 비난하면서다.
지난달 5일 머스크는 대통령 탄핵을 거론하며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 등으로 수감됐다가 옥중에서 숨진 제프리 엡스타인의 성범죄 사건에 트럼프 대통령이 연루됐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의 마약 중독 가능성을 거론하며 테슬라, 스페이스X 등 머스크가 소유한 회사와 연방정부가 맺은 계약을 철회하겠다고 맞섰다.
두 사람간 갈등은 정점으로 치닫다가 극적으로 봉합됐다. 머스크가 지난달 11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후회한다”며 먼저 고개를 숙였다. 외신들을 중심으로 머스크의 태도 변화 이유가 최근 테슬라의 주가 하락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이날 머스크가 다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거센 비판을 이어가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 대응할 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