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연준 의장 후보 거론 인물
7억 달러 비용 초과 언급하며
금리 인하 거부하는 파월 공격
“트럼프, 정당 사유땐 해임 권한”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워싱턴=AP 뉴시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63)이 13일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25억 달러(약 3조4500억 원) 규모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건물 공사 비용이 과다하다며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대통령에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금리 인하 요구를 따르지 않는 파월 의장 해임을 압박하자, 해싯 위원장이 여기에 가세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해싯 위원장은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연준 건물 공사는) 워싱턴 역사상 가장 비싼 프로젝트”라며 “초기 비용보다 7억 달러(약 9665억 원) 초과된 25억 달러가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준이 해명해야 할 게 많다”고 했다. 앞서 연준은 2021년부터 워싱턴 내 2개 건물에 대한 개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준 보수 공사 비용이 파월 의장을 해임할 사유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는 “대통령이 그렇게 할지 여부는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의 (비용 관련) 질의에 연준이 어떻게 답하는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앞서 10일 보트 국장은 “연준이 옥상 정원과 인공 폭포, 귀빈 식당, 대리석 장식 등을 포함한 호화 청사 개조를 강행하고 있다”며 보수 공사의 위법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서한을 파월 의장에게 보냈다.
미 정치 전문매체 액시오스 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내년 5월까지 임기인 파월 의장을 해임하기 위해 공사 비용 문제를 들고나왔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하며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 결정이 매번 늦는 사람)”와 “루저(loser)” 같은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차기 연준 의장으로 눈여겨보고 있다는 해싯은 감세와 규제 완화를 주장하는 보수 경제학자 출신으로, 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과 출신 학교가 같은 것. 이후 컬럼비아대 조교수와 연준 경제학자를 거쳐 1997년 보수진영 싱크탱크인 미국기업연구소(AEI)에 합류했다. 그는 공화당 대선 후보 시절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을 비롯해 존 매케인, 밋 롬니의 경제고문을 맡기도 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선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미중 무역전쟁과 감세 정책에 관여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분야 핵심 측근으로 꼽혔다. 2019년 백악관을 잠시 떠났다가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터지자 비공식 경제 자문역으로 복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한 올 초 NEC 위원장으로 취임한 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등과 더불어 고율 관세 정책을 주도했다. 그는 당초 연준의 독립성이 필요하다는 시각을 보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공격한 이후엔 연준이 트럼프 행정부의 저금리 기조를 따라야 한다며 입장을 바꿨다.
미 정치권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 파월 의장을 해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