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용하는 소셜 플랫폼 트루스소셜의 인공지능(AI) 기반 챗봇이 트럼프 행정부 정책과 반대되는 답변을 쏟아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트루스소셜 챗봇은 최근의 미국 정부의 관세가 결국 미국인에게 부과되는 세금이라고 답했다. 또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의 대선 경쟁이 벌어졌던 2020년 대선은 부정 선거가 아니었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발생한 폭동에 대해서도 “폭력적”이라고 했다.
특히 해당 폭동 사건이 “광범위한 선거 부장에 대한 근거 없는 트럼프의 주장에 따른 것”이라고도 답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벌어진 워싱턴DC 총격 사건에 관해 “완전히 통제 불능 상태”라고 답한 것에 반해 이 챗봇은 미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의 강력 범죄율 감소를 근거로 “그렇지 않다”며 “2024년까지 폭력 범죄가 상당히 감소했다”고 답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도 “증거가 그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했다. 챗봇은 또 “최근의 미국 주식 시장 호황은 기업의 수익 증가에 따른 것이며 ”분석가들은 관세의 경제적 위험이 여전히 상당하다고 경고했고 미국 경제가 점진적인 침체 위험이 있다“고 부연했다.
트루스 소셜은 트럼프 측이 미국의 빅테크 AI 기술과 언론이 편파적이라고 비난하며 만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현안과 입장을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개하기도 한다. 앞서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국에 대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트루스소셜을 통해 알리기도 했다.
트루스소셜 소유주이자 모회사인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는 최근 이 챗봇을 ‘공개 베타 테스트’라고 설명하면서 ”직접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깨어있는 AI(Woke AI)’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AI가 정치적으로 편향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