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셰프 고든 램지가 기저세포암 수술 사실을 공개하며 자외선 차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저세포암은 재발률은 낮지만 예방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사진=고든램지 SNS
세계적인 셰프 고든 램지(58)가 피부암 수술 사실을 공개하며 자외선 차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0일(현지시각)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램지는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피부암의 일종인 기저세포암 제거 수술을 받았다고 밝히며 관련 사진을 올렸다.
■ 램지가 전한 경고…“자외선 차단제 꼭 바르세요”
공개된 사진에는 귀 아래 부위를 절제한 뒤 붕대를 감은 램지의 모습이 담겼다. 그는 “신속히 대응해 준 의료진에게 감사하다”며 “이번 주말에는 꼭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라”고 당부했다.
해당 게시물에 딸 홀리는 “아빠 사랑해요”라는 댓글을 남겼고, 누리꾼들도 “빠른 쾌유를 빈다”, “치료가 무사히 끝나 다행이다”라며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한 자선 단체는 “피부암 예방과 검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셔서 감사하다”며 “모두 그늘을 찾고, 자외선 차단제를 규칙적으로 충분히 발라라”며 자외선 차단의 중요성을 전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기저세포암, 어떤 병인가?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따르면 기저세포암은 피부의 바깥층에서 발생하며, 장기간 자외선 노출이 주요 원인이다. 피부에 혹이나 반점이 생기며, 머리·목·어깨·손·다리 등 햇볕에 잘 노출되는 부위에서 주로 나타난다.
서울 아산병원 자료에 따르면 치료법은 병변 위치와 크기, 조직 아형, 재발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진다. 작은 병변은 제거 후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지만, 병변이 크거나 중등도 이상일 경우 피부 재건이나 이식이 필요하다.
■ 재발·전이율 낮지만 예방은 필수
기저세포암은 생명을 크게 위협하지는 않지만 주로 얼굴에 발생해 지속적으로 조직을 파괴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 후 재발률은 5.3%, 모스 수술 후 재발률은 1.3%다. 전이 가능성은 0.0028~0.55%로 매우 낮지만, 전이 시 평균 생존 기간은 8~10개월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기저세포암을 예방하려면 야외 활동 시 태양광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