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의 흔적과 생명을 담은 사물… AI-3D프린팅이 대체할 수 없는 공예[김대균의 건축의 미래]

  • 동아일보

코멘트

佛 모던과 韓 전통 공예 잇는 전시… 형태와 마음의 공명이 美 빚어내
공예 전환점 만든 獨 ‘바우하우스’… 숙련 노동으로 모두 위한 美 추구
대량생산으로 생명성 축소됐지만, 새 도구 나와도 공예 가치 남을 것

한국 고미술 갤러리 ‘고복희’와 프랑스 모던 디자인 가구 갤러리 ‘르모듈러’가 기획한 ‘형심(形心)’ 전시. 위쪽 사진에선 모던한 가구와 조선시대 현판, 전통 비옷인 도롱이 등이 어우러져 따뜻한 풍경을 만들어 냈다. 아래쪽 사진에선 프랑스 근대 여성 건축가 샤를로트 페리앙이 디자인한 침대를 중심으로 동서양과 시대를 넘나드는 물건들이 배치됐다. 고복희 제공
한국 고미술 갤러리 ‘고복희’와 프랑스 모던 디자인 가구 갤러리 ‘르모듈러’가 기획한 ‘형심(形心)’ 전시. 위쪽 사진에선 모던한 가구와 조선시대 현판, 전통 비옷인 도롱이 등이 어우러져 따뜻한 풍경을 만들어 냈다. 아래쪽 사진에선 프랑스 근대 여성 건축가 샤를로트 페리앙이 디자인한 침대를 중심으로 동서양과 시대를 넘나드는 물건들이 배치됐다. 고복희 제공
《마음을 따르는 형태, 공예 정신

얼마 전 시간의 흔적과 아름다움이 교차하는 한국 고미술 갤러리 ‘고복희’와 프랑스 모던 디자인 가구 갤러리 ‘르모듈러’가 함께 기획한 ‘형심(形心)’이라는 전시가 있었다. ‘형태는 영혼을 따른다’는 프랑스 근대 여성 건축가 샤를로트 페리앙의 말에서 출발한 전시였다. 이 전시는 프랑스 모던 건축 거장들의 가구, 건축과 조선시대 기물, 가구들의 조화가 주는 감동을 전하고, 동서양과 시대를 넘어 지금 우리 삶을 관통하는 형태와 마음의 관계를 생각하게 했다.》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페리앙이 디자인한 침대와 스툴 옆에 있는 작은 반닫이, 그 위에 모던한 스탠드 조명과 백자 제기, 또 그 옆에 있는 페리앙의 부엌가구…. 글로 나열하면 상상하기 어렵지만, 실제 전시를 본 누구나 감탄했다. 또 금속 건축으로 유명한 프랑스 근대 건축가 장 프루베의 철제 벽면을 배경으로 한 백자는 벽면과 백자의 무채색의 조화로 더욱 아름답게 보였다. 모던 디자인 책상과 의자 옆 벽면에 걸려 있는 조선시대 현판과 짚으로 만든 비옷, 도롱이가 만드는 풍경은 따듯한 현대 설치 작품을 보는 것 같았다.

시대와 국가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무엇 때문에 프랑스의 근대 건축가들의 모던 디자인과 조선시대 기물은 조화롭고 아름다운 것일까? 이 질문은 전시를 본 이후에도 며칠간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시대적 배경과 역사, 국가 등 유사점이 없는 사물의 형태가 서로 조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말은 모더니즘 건축의 상징적인 문장이다. 하지만 페리앙은 ‘형태는 영혼을 따른다’라고 했다. 기능을 중심으로 만든 물건과 만드는 사람의 마음을 담은 물건은 쓰는 사람의 마음도 달라지게 만든다.

‘공예’에서 흙을 다지는 도구를 형상화한 글자인 ‘공(工)’은 장인, 기교, 일을 뜻한다. 어떤 것을 만들려면 숙련된 도구와 반복된 행위, 노동이 있어야 한다. ‘예(藝)’는 재주, 법도, 궁극의 의미가 있다. 재주가 형식을 가지고 어느 한계를 넘어 궁극에 만들어진 것에는 생명이 담긴다. 실제로 ‘예’는 식물을 가꾸는 행위를 형상화한 글자다. 사전적인 의미로 본다면 공예는 ‘오랜 시간 몸으로 익힌 일을 통해 생명이 담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공예가 전통, 예술, 산업 중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오히려 공예의 정의 앞에 작고 초라해 보인다.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는 현대사회의 바탕이 된 때다. 이 때문에 지금의 공예와 디자인을 이해하는 길목에서 유심히 살펴볼 지점 중 하나가 1919년 독일에서 미술, 공예, 건축 등의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바우하우스’다.

당시는 귀족과 부르주아를 위한 노동에서 벗어나, 시민과 노동자를 위한 집과 사회를 만드는 것이 서구 사회의 가장 중요한 가치였다. 귀족을 위한 아름다움에서 벗어나 모두를 위한 아름다움이 필요한 시대였기에 의자, 그릇, 옷, 집 등 모든 물건은 새로운 미(美)의 관점에서 제작해야 했다. 이런 생각은 수천 년간 이어온 공예가 변화한 시작점이 됐다.

바우하우스는 장인과 예술가 사이의 장벽을 없애기 위해 각 공방에 장인마스터와 창작마스터를 함께 두고, 도제 과정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 새 시대의 의자와 도자기, 직물을 만들었다. 이것은 분명 공예의 새로운 제작방식이었고, 동시에 공예와 디자인의 분기점이기도 했다. 하지만 바우하우스에서 만들어진 제품과 건축에도 시대정신과 생명정신을 불어넣겠다는 공예의 정의 안에서 이뤄진 일이다.

‘만드는 것에 생명을 담는다’는 공예의 철학은 근대 산업사회에서부터 변화가 생겼다. 철과 유리와 같은 산업재료는 장소와 계절의 관계를 끊고, 각각의 부품은 오차가 없도록 동일한 제작과 조립 과정으로 만들어졌다. 숙련된 손과 생명정신은 그렇게 서서히 움츠러들었다.

그릇을 만드는 공장에서 하루에 1만 개의 그릇을 생산한다고 하면 그중 몇 개는 다른 그릇과 차이가 나는 것이 만들어진다. 그것을 우리는 불량품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릇을 손으로 만들고 가마에 굽게 되면 백 개의 그릇이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 그렇다고 이것을 불량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철학자 들뢰즈는 ‘반복과 차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려고 했다. 만일 세상에 정답이 있다면 정답에서 벗어나는 것은 모두 틀린 것이 된다. 그릇도 표준화된 정답이 있다면 그것에서 벗어난 것은 모든 것이 불량품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생명과 사람은 서로 차이가 있다. 어떤 것 하나 동일한 것이 없다. 생명으로 만들어진 그릇 또한 마찬가지다.

공예는 인류가 자연과 공존하며 만들어온 문명의 기록이면서 자산이다. 또한 장소와 관계 맺고 자연의 물성을 탐구하여 만들어진 사물과 시공간에 생명을 담으려는 시도이다. 인공지능(AI)과 3차원(3D) 프린터는 디자인과 공예를 포함한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수 있지만 이것 역시 인간이 만든 도구다. 새로운 도구의 출현은 새로운 문명을 만든다. 하지만 공예는 몸과 도구를 통해 지구와 관계를 맺고 사물에 생명을 담는다는 정신을 지닌 사상이다. 이를 잊지 않는다면 다가올 새로운 문명은 인류에게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사할 수 있다.

#공예#모던 디자인#바우하우스#장인정신#형태와 영혼#반복과 차이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