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APEC 준비’ 총력전
경주 인프라 공사 공정 30∼65%
“미흡한 수준… 완벽 준비 힘모아야”
金총리 매주 경주 찾아 현장 점검… “남은 100일간 충분히 준비 갖출것”
김민석 국무총리(왼쪽)가 15일 경북 경주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제공
10월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100여 일 앞두고 정부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APEC은 21개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 총액이 세계 GDP의 61%에 이르는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 중 하나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APEC 회원 20개국 정상에게 초청장을 발송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탄핵 정국과 조기 대선 등 정국 혼란의 여파로 주요 정상들이 지낼 숙소 등 주요 인프라 준비는 진척이 더디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주요 활동 무대인 정상회의장과 만찬장 등은 공사 공정이 30%에 그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를 비롯한 주요 지방자치단체들은 행사 준비에 한창이다. 경주시는 기반시설 공사를 9월 초까지 완료하고 한 달간 시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상회의장으로 활용되는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와 보문관광단지 일대 숙박시설은 노후 시설 리모델링이 진행 중이다. 정상회의 기간 약 2만 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상용 객실 35개를 포함해 총 7700여 객실을 확보했다. 정상들이 묵을 숙소는 65%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자원봉사자 선발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250명 모집에 1069명이 지원해 4.2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준비지원단은 영어 능력과 국제행사 경험 등을 기준으로 이달 말 최종 선발하고, 9∼10월 중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APEC 관련 주요 사전 회의가 열리는 인천과 제주 등도 행사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달 26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고위관리회의(SOM)와 디지털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는 인천시는 송도컨벤시아 보수에 32억 원을 투입하고, 자원봉사자 140명을 인천국제공항과 행사장에 배치한다고 밝혔다. 참가자 전용 셔틀버스 운영과 식음료 위생관리, 상비약 비치 등 준비도 마쳤다. 제주도는 9월 1∼5일 열리는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를 맞아 총 10개 부대 행사와 5000여 명의 참가자를 수용할 예정이다. 회의는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도는 행사장과 숙소에서 원도심 전통시장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응급의료 대응 체계도 구축했다.
다만 경주의 주요 인프라 공사의 공정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북도가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5일 기준 정상회의장과 만찬장, 미디어센터의 공사 공정은 각각 30%, 30%, 50%에 그쳤다. 정상회의장으로 사용될 경주화백컨벤션센터는 아직 철거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았다.
국회 APEC 특별위원장인 김기현 의원은 “완벽한 준비와 정교한 운영을 위해 정부와 여야 정치권, 지역사회의 역량을 모아 국격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APEC 회원국 정상·기업인 2만 명 방문 전망
정부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대통령실은 APEC 관련 비서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인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주부터 매주 경주를 찾아 직접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2·3 비상계엄 이후 정국 혼란으로 APEC 준비도 지연된 측면이 있지만 남은 100일간 충분히 준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며 “재작년 잼버리 사태와 같은 실패가 반복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APEC 정상회의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 등 APEC 회원국 정상과 정부대표단, 기업인 등 최대 2만 명의 참석이 예상된다. 최종고위관리회의(10월 27, 28일),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10월 29, 30일), 정상회의(10월 31일, 11월 1일) 등 주요 행사는 정상회의 주간(10월 27일∼11월 1일)에 집중돼 있다.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리는 CEO 서밋에는 10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 관계자가 참석할 전망이다. CEO 서밋 의장을 맡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13일 이 대통령과 만나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 성공을 위해 ‘빅샷’ 기업인들을 초청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