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고착 구간’ 다가오는데… 李-金 격차 20%P 넘어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16일 03시 00분


[대선 D-18]
지지율 격차 4주째 비슷
이재명 호감도 처음 50%로 올라… ‘생환’ 효과 못본 김문수, 반등 고심
“정권교체” 57% vs “재창출” 32%

15일 공개된 5월 3주차 NBS 정례조사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49%), 국민의힘 김문수(27%), 개혁신당 이준석(7%) 후보 간 지지율 구도가 각 정당의 대선 후보 확정 직전인 지난달 말과 비슷한 격차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자 대결을 기준으로 이재명 후보와 김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4월 4주차 조사 당시 21%포인트에서 지난주 14%포인트까지 줄었지만 이날 조사에선 다시 22%포인트로 벌어졌다. 이 후보의 지지율이 한 주 만에 6%포인트 상승한 반면 후보 교체 논란 끝 극적으로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된 김 후보의 지지율은 정체되면서다. 김 후보는 단일화 실패 이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 지지층을 흡수하지 못하면서 반등 전략을 두고 고심에 빠졌다.

● 李 전주 대비 ‘43→49%’ 지지도 상승

이재명 후보는 지난달 27일 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후 지지율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 후보는 김문수, 이준석 후보와의 3자 대결 구도에서 4월 4주차부터 5월 3주차까지 46→46→43→49%의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김 후보는 25→25→29→27%, 이준석 후보의 경우 9→8→7→7%로 횡보했다. 대선 후보 등록 직전 이뤄진 김 후보와 한 전 총리의 후보 단일화 파동 이후 김 후보의 지지율은 제자리걸음을 보인 것. 중도층 지지율도 같은 기간 이재명 후보는 51→51→50→55%를 기록했다. 김 후보는 이 기간 16→19→18→18%, 이준석 후보도 11→10→11→10%로 변동 폭이 크지 않았다.


유권자들의 대선 구도 인식 조사에서도 ‘정권 교체를 해야 한다’는 응답이 4월 4주차 50%에서 이번 주 57%로 높아진 반면 같은 기간 ‘정권 재창출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39%에서 32%로 떨어졌다.

지역별 지지율 변동 폭은 대구·경북(TK)에서 가장 컸다. TK 지역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4월 4주차 18%에서 이번 주 29%로, 김 후보의 지지율은 37%에서 54%로 상승했다. 최대 격전지는 부산·울산·경남(PK)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40%, 김 후보가 34%로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조사된 것.

이날 발표된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고 답한 응답자는 50%로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46%)을 넘어섰다. 이재명 후보의 호감도가 비호감도보다 높아진 것은 처음이다. 김 후보의 호감도는 30%, 비호감도는 65%였으며 이준석 후보는 호감도 22%, 비호감도 72%였다. 정치권 관계자는 “정치인 호감도나 정당 지지도 조사는 후보 지지도의 선행 지표”라며 “이 후보의 지지도 흐름이 견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했다.

● 민주 “격차 줄어들 것” 국힘 “상승할 것”

민주당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독주 체제가 이어지면서 역풍을 우려하고 있다. 김민석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양자 또는 3자 대결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 것으로 본다”며 “백병전을 대비해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승리를 확신할 경우 지지층이 대선에서 투표장에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전략통으로 꼽히는 한 의원은 “현재 후보 간 지지도 격차에 비해 정당 지지도 격차는 작은 편”이라며 “대선 막판 후보 지지도는 좁혀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대비 중”이라고 했다.

김 후보 측은 아직 선거운동 초반인 만큼 지지율 상승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선대위 관계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고 미래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

이준석 후보 측은 “이재명과 싸우려면 김문수로는 안 되고 이준석이어야 한다”는 점을 적극 호소한다는 전략이다. 선대위 관계자는 “단순히 이재명에 반대하는 보수 표만 가지고는 안 된다”며 “민주당 지지층까지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가 떨어지는 흐름이 있어서 실제 대선에서는 득표율 차이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윤 전 대통령 탈당 여부 등이 막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5일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2∼14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발표한 5월 3주차 정례 전국지표조사. NBS·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 100% 방식으로 실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대선 후보#지지율#정당 지지도#정치인 호감도#선거운동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