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1]
갤럽조사 李 46-金 34-이준석 11… R&R 李 45.6-金 34.4-이준석 9.0
큰 격차 보이던 李-金 차이 줄어
득표율 10% 이상땐 비용 절반 보전… 이준석 부담 덜어 단일화 변수로
6·3 대선 사전투표일을 일주일 앞두고 표심이 미묘하게 출렁이는 건 보수 진영의 전통적 지지층이 결집하는 데다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무당층이 빠르게 줄어들면서 유권자 이합집산이 본격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큰 격차로 앞서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독주 체제가 장기화하면서 지지층 내부 결속이 다소 느슨해진 반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보수세가 강한 영남권과 60대 이상 유권자 표심이 결집하면서 양자 간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는 것이다. 중도보수 후보를 표방하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두 자릿수 지지율로 올라온 것도 대선 막판까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9∼21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2일 공개한 여론조사를 보면 이재명 후보(46%)와 김 후보(32%)의 대통령 후보 지지율 격차는 14%포인트다. 직전 주 조사 격차인 22%포인트(이재명 49%·김문수 27%)보다 8%포인트 줄었다.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은 10%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두 자릿수에 진입했다.
이 같은 지지율 변화는 보수 진영의 결집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의 우세 지역으로 평가받는 부산·울산·경남(PK)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36%, 김 후보는 43%였다. 지난주 조사(이재명 40%·김문수 34%)보다 김 후보 지지율이 9%포인트 오른 것. 이재명 후보가 독주 체제를 구축하던 서울은 김 후보와의 격차가 지난주(이재명 47%·김문수 29%) 18%포인트에서 이번 주(이재명 42%·김문수 36%) 6%포인트로 감소했다.
보수 진영의 전통적 지지층인 60대 이상에서도 표심 변화가 생기고 있다. 지난주 조사에서는 60대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45%, 김 후보가 40%였다. 반면 이번 조사에선 김 후보가 47%, 이재명 후보가 42%였다. 70대 이상에서도 지난주 조사에선 김 후보(46%)와 이재명 후보(38%)의 격차가 크지 않았지만 이번 조사에선 김 후보 56%, 이재명 후보 36%를 기록하며 20%포인트 격차를 나타냈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의뢰로 한국갤럽이 20, 21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무선전화 면접 방식)에서도 이재명 후보 46%, 김 후보는 34%, 이준석 후보는 11%로 나타났다. 채널A-리서치앤리서치가 19, 20일 진행한 여론조사에선 이재명 후보 45.6%, 김문수 후보 34.4%, 이준석 후보 9.0%였다. 가상 양자대결은 이재명 후보 48.9%, 김 후보 39.5%로 9.4%포인트 한 자릿수 격차였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난 주말부터 보수층이 다시 뭉치는 흐름이 감지됐다”며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40%대에 묶여 있는 것도 중요한 지점”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애초에 여론조사 결과는 팽팽하게 좁혀지는 결과로 가는 것으로 봤다”며 예상 가능한 범위라는 반응이다.
● 무당층도 줄어… 이준석 선거비용 보전 기준선 넘어
후보들의 지지율 변화 배경에는 무당층의 움직임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주 NBS 조사에서 지지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다고 응답한 무당층은 16%였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선 10%로 6%포인트 줄었다. 이미 지지층이 결집돼 있던 이재명 후보보다 김 후보, 이준석 후보에게 무당층이 옮겨가면서 후보 간 지지율에도 변화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선거에 가까워질수록 무당파는 계속해서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전 대선들에선 본투표일 2주 이내 이뤄진 여론조사와 실제 당선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대선 본투표일 10일 전 발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선 국민의힘 윤석열 당시 후보가 42.3%, 이재명 후보가 37.2%, 안철수 후보가 11%였다. 19대 대선 본투표 10일 전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도 문재인 전 대통령이 40%, 안철수 의원 24%,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12%였다.
18일에 열린 1차 TV토론 이후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10%를 나타내면서 보수 진영의 단일화 작업은 더욱 복잡해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선에서 득표율 10% 이상을 얻으면 선거 비용을 절반 보전받을 수 있다. 완주에 대한 부담감을 더는 구간에 진입한 것이다. 선거 비용 전액 보전 득표율은 15% 이상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