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기존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하고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사진은 9일 오후 서울 한 의과대학. 2025.03.09. [서울=뉴시스]
교육부가 이달까지 의대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한 것을 두고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024, 2025학번 7500명을 동시에 교육하는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강경파와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법정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 김택우 회장은 8일 시도의사회장 전체회의에서 ‘2024, 20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하기 위해서는 2026학번을 한 명도 뽑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고민이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의협이 2024, 2025학번의 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으나 정부가 제대로 된 계획을 내놓지 않는다”며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직 전공의(인턴, 레지던트)와 의대생 등이 다수 포함된 강경파에서는 정부가 2024, 20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해야 하는 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대로 내놓지 않았다며 정부 제안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가 높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의협 부회장)도 교육부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조건부 동결 발표가 나온 7일 “교육부의 대책은 또다시 5.5년제다. 7500명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할지 대안도 없이 신입생 선발부터 걱정하는 모습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다.
반면 의대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수나 개원의들은 학생들이 학교로 복귀하고 증원을 원점으로 돌리는 선에서 마무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수도권 의대 교수는 “학생들은 아직 면허도 없고 의사 신분이 아닌데, 졸업이 무작정 늦어지는 것이 학생 개인의 미래에도 옳은 선택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8일 시도의사회장 전체 회의에서도 교육부의 2026학년도 정원 동결 제안에 대해 일부 참석자들이 현실을 고려해 정부의 제안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