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증원 원점?…신뢰 못한다” 의대생 복귀 설득 ‘진땀’

  • 뉴스1

코멘트

학장들 일제히 복귀 호소문…개별 학생 면담 진행
“모든 게 조건부”…‘꼼수 수강 정정’으로 수업 거부

10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10 뉴스1
10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10 뉴스1
정부가 의과대학 학생들의 3월 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한 뒤 학장들의 필사적인 설득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의대생들은 복귀를 전제로 한 ‘조건부 의대 증원 원점’에 강한 불신을 드러내며 ‘꼼수 수강신청’ 등의 방법으로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의대생 복귀 전제 내년도 의대 정원 3058명 동결 방침이 발표된 이후 첫 수업 날인 10일 전국 의대 학장들은 일제히 복귀 호소문을 발표하고 학생회 면담, 개별 학생 지도교수 상담 등을 진행했다.

의대 학장들 일제히 복귀 호소문…개별 학생 면담 진행

가톨릭관동대 학장단은 전날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학생 및 학부모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학생들의 복귀가 지연된다면, 학사 일정 정상화가 어려워지고, 의사 국가시험과 전공의 지원 과정까지 연쇄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하루라도 빨리 학교로 복귀해 학업을 재개할 것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정연준 가톨릭대 의대 학장도 같은 날 ‘가톨릭 의과대학 학생에게 보내는 글’을 통해 미뤘던 의대 수업을 31일 개강한다고 공지하며, 24일까지 지도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휴학 여부를 다시 결정해달라고 안내했다. 앞서 가톨릭 의대는 학생들이 휴학계를 내고 수업을 거부하자 개강을 7~8주 미룬 바 있다.

정 학장은 “휴학계 제출 이후 2026년 모집 정원 동결이라는 중대한 변화가 있었으므로 교육부 발표 이전에 제출한 휴학계를 그 상태대로 승인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휴학계를 제출한 학생들은 3월 24일까지 지도교수와 면담해 휴학 여부를 다시 결정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의 큰 희생으로 폭주하던 정책에 일단 제동이 걸렸고 남은 문제들은 전체 의사가 힘을 모아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 본연의 자리로 돌아와 학업에 매진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윤웅 전남대 의대 학장도 ‘전남대 의과대학 학생과 학부모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지금이 학생들이 학업에 복귀해야 할 시점”이라며 “학생들은 3월 24일 이전에 복귀해야 하며 이후의 추가적인 복귀가 불가함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이후엔 학칙과 무관하게 고등교육법에 근거한 교육부 방침에 따라 휴학이 승인되지 않고 심각한 불이익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밖에 다수 대학에서 의대 학장과 학생회 면담이 진행됐을 뿐 아니라 지도교수와 학생 간 개별 면담을 통해 의대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어떻게 믿나” 불신…수강 정정 활용 수업 거부

이같은 필사적인 설득 작업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는 저조한 분위기다. 특히 ‘3월 말 전원 복귀 시 모집 인원 동결’이라는 정부 방침 자체에 대한 불신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생회와 면담한 한 지역 의대 학장은 “모든 게 다 ‘조건부’ 전제라서 학생들이 도대체 정부를 어떻게 믿느냐고 토로한다”며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엇박자를 내고, 한덕수 국무총리나 윤석열 대통령이 돌아올 경우엔 다시 의대 정원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의대 증원 정책을 강력 추진했던 만큼, 구속 취소와 탄핵 심판 결과에 의대생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권 일부 의대에선 전날까지였던 ‘수강신청 정정 기간’을 활용해 수강 신청했던 전공과목을 수강 철회한 뒤, 교양 수업과 같은 ‘1학점’만 정정 신청하는 방법으로 수업을 거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5학번 신입생의 경우 수강신청을 하지 않으면 등록이 되지 않아 당초 전공과목을 수강신청했다가 정정기간을 활용해 수업 거부에 나선 것이다.

각 대학은 교육부가 제시한 의대 교육 운영 모델과 관련해선 의대생 복귀 여부를 우선 살핀 뒤 학교별 여건에 맞게 채택 여부를 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의 한 사립대 총장은 “학생 복귀 여부가 우선 파악돼야 그때 가서 모델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