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입대 하겠다는 의대생 2074명…의정 갈등 전보다 10배↑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4월 15일 09시 05분


코멘트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 교육부 자료 제출 받아
“장기적 관점서 공보의·군의관 수급 방안 모색”

정부가 11일 전공의 의료 공백에 대응해 군의관 20명, 공중보건의사 138명을 20개 병원에 파견했다. 이날 서울시내 한 병원에서 한 군의관이 파견근무에 나서고 있다. 2024.03.11. 뉴시스
정부가 11일 전공의 의료 공백에 대응해 군의관 20명, 공중보건의사 138명을 20개 병원에 파견했다. 이날 서울시내 한 병원에서 한 군의관이 파견근무에 나서고 있다. 2024.03.11. 뉴시스
올해 1학기 현역병 입영을 위해 군 휴학을 신청한 의대생이 전국에서 2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군의관, 공중보건의(공보의) 인력 수급에 심각한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의과대학 재학생 중 군 휴학 인원은 총 207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정 갈등 전인 2023년 1학기 208명, 2학기 210명보다 각각 9.97배, 9.88배 많은 수준이다.

의대 정원 증원을 계기로 시작된 의·정 갈등 이후인 지난해 1학기 군 휴학은 602명, 지난해 2학기는 1147명으로 늘었다. 지난 1학기에는 2074명까지 증가한 셈이다.

일반적으로 의대생들은 졸업 후 의무사관 후보생이 돼 군의관 또는 공보의로 입영한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의정 갈등으로 인해 의료계의 정부 불신이 커지면서 군 휴학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군의관과 공보의의 경우 복무기간이 36개월로 육군 현역병(18개월)보다 긴 점도 현역 입영이 늘어난 이유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해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해 올해 3000여명의 사직 전공의가 군 입영 대상자가 되자 정부는 이들을 입영 대기자로 분류하고 순차적으로 최장 4년에 걸쳐 입영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사직 전공의들은 입영 대기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했다면서 헌법 소원을 제기한 상황이다.

서명옥 의원은 “군 의료자원 부족은 국가의 안보가 걸린 심각한 문제”라며 “정부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보의, 군의관 수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