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형 땅꺼짐(싱크홀)을 탐지하기 위한 신기술 관측망을 도입한다. 비공개로 논란을 일으킨 일명 ‘싱크홀 지도’도 공개하기로 했다.
23일 서울시는 최근 잇따른 싱크홀 사고 예방 대책으로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하고 땅속에 관측 센서를 설치해 지하 약 20m 깊이 지층 변동을 살필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대형 싱크홀을 탐지하기 위해서다.
시는 그동안 전체 싱크홀 발생 원인 중 상하수도관 누수가 가장 많다는 이유로 지하 2m 내외를 탐사할 수 있는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핵심 대책으로 내세워 왔다. 수도관은 주로 깊이 3m 이내에 매설된다. 하지만 동아일보 취재 결과 큰 피해가 발생하는 깊이 10m 이상 싱크홀 중 최근 10년간 수도관 누수로 발생한 건 0건이었다(23일자 A6면 참조).
31일 오전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 현장이 보이고 있다. 2025.03.31 뉴시스
새 관측망은 다음 달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 인근 지하철 9호선 공사 구간에 우선 설치된다. 시는 또 15억 원을 투입해 차량형 GPR 장비를 기존 4대에서 7대로 확대하고, 조사 범위도 현재 도로의 30%에서 60%로 넓히기로 했다. 자치구가 지정한 우선 점검 지역도 포함된다.
그동안 비공개였던 ‘지반침하 안전지도’도 공개된다. 서울시가 2024년 제작한 지도로 당초 싱크홀을 예측할 수 있는 지도로 알려졌지만 지하 시설 정보를 다룬 참고 자료에 불과했다. 시는 “부동산 시장에 혼란을 준다”는 등의 이유로 비공개해왔는데, 시민의 알권리를 고려해 단계적으로 공개하기로 했다. 보다 정밀한 정보를 담은 새 지도도 제작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강남구 영동대로 복합개발 공사 현장을 찾아 지하 안전 전담 부서인 ‘지하안전과’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시의회도 지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