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처럼, 산 위에 집을 짓자”…100년 전 대홍수가 바꾼 서울의 주거 꿈[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6일 13시 00분


코멘트

백년사진 No.126

홍콩 앞바다에 떠 있는 배 위에서 도시를 바라본 사진이 한 장 있습니다. 멀리 산과 도시의 모습이 한 눈에 들어 옵니다. 100년 전 서울 사람들은 이 풍경을 부러워했습니다. 그 이유는 서울을 비롯해 전국을 강타했던 홍수 때문이었습니다.

● 대홍수로 무너진 ‘평원 도시’의 꿈

1925년 여름, 몇 주 동안 이어진 폭우로 서울을 폐허가 되다시피 했습니다. 특히 한강변 저지대는 물에 잠겨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러면서 도시에 대한 계획을 전면 수정하자는 의견이 대두됩니다. 당시 기사를 원문에 가깝게 옮겨보았습니다.

<1925년 8월 12일 기사 1. 경성 도시계획은 고지 (高地) 도시로 변천>

경성부의 도시계획은 시기와 예산 문제로 겨우 영등포(永登浦) 부근을 공장 지대, 용산을 상업지대, 동부 일대를 주택지대로 개괄 설계는 되어 있으나 그 이상 구체안에까지 이르기에는 현재의 상태로는 아직도 수년을 더 있어야 할 형편인데 자연 현재 경성 도시를 아름답게 하려면 국부적 시구 개정으로 할 밖에 달리 도리가 없는 현상인 바, 최근에 이르러 한강 대홍수의 영향을 받아 용산 치수 문제와 한 가지로 경성부의 인접 부락을 병합하여 대 경성의 출현을 계획하는 이 때에 도시 구성을 더욱 연구할 여지가 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본래 총독부에서 연구하고 있던 평면 도시는 단순히 행정적 지역을 확대함에 있어서 윤돈(倫敦,런던), 파리(巴里), 동경, 오사카 등의 평원 도시를 모방한 것이나 실제 경성의 지세를 보면 평원 도시의 관념을 버리고 홍콩(香港), 나가사키 등과 같이 고지(高地)정복을 제일로 하지 아니하면 안되겠다는 것인 바 이번 홍수가 자극을 주어 경성의 도시 계획은 장차 고지 도시로 변해 가리라더라.

<1925년 8월 12일 기사 2. 도시 연구 총회 - 13일에 개최>
10일 오후 3시 경성상업회의소에서 경성 도시 연구회 위원회를 열고 당분간 회의의 성안(成案)을 응급책과 근본책의 두 가지로 나누어 오는 13일 오후 3시에 다시 열릴 총회에 성안을 부의하기로 되었다는데, 그 중에 근본책은 지금 기고(起稿) 중이라 아직 알 수 없으나 그 응급책으로서는 아래와 같다더라.

용산, 영등포 제방을 완전케 할 것
용산 고지와 저지 배수의 설비를 완전케 할 것
이촌동을 거주지로 하지 말게 할 것


● “미래의 경성은 홍콩처럼 산 위에 집을 짓자”는 주장

같은 날 매일신보는 더 직접적인 제목을 뽑았습니다. 1925년 8월 12일자 매일신보 2면 기사의 제목은 “홍콩, 미래의 경성의 본보기”입니다.


매일신보의 기사 내용도 같이 보겠습니다.

<1925년 8월 12일자 매일신보 기사.
홍수로 환멸된 한강 중심의 도시계획 — 수재로 인하여 근본적 변경 추이되는 대경성의 살림터! … 홍콩의 그것과 같이?>

밝아가는 조선문화의 횃불잡이가 될 대경성(大京城)의 크나큰 도시계획은 시기와 예산 문제로 일시 허리가 끊기게 되고 다만 ▲ 영등포 부근을 공장 터로 잡고 ▲경성과 용산을 상업지대로 삼으로 ▲ 동부북부 일대를 주택지대로 삼자는 대강 계획만 얽어놓고 있을 뿐이요 지금의 형세로는 아직도 몇 년이나 더 지나야 무슨 결말이 나겠는데 뜻밖에 이번 큰 홍수로 인하여 영등포도 믿지 못할 곳이고 용산도 마음 놓고 살 수 없는 곳이며 청량리도 편하게 지내기 어려운 곳이라는 쓰린 체험을 하게 되매, 모든 계획에는 큰 변동을 일으키게 되고 만 것이다. 유유히 흐르는 한강을 중심으로 대경성의 아리따운 꿈은 마침내 무참이 깨어지고 한강을 피하여 살자하는 소리가 높아가게 되고 만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 때까지 총독부에서든지 경성부에서든지 경성의 모든 시설은 평면 도시계획으로 대개는 행정지역의 확대를 목표로 하여 영등포를 끌어들이며 청량리를 끌어들여 본다는데 그치어 ‘런던’이나 ‘파리’에서 취하는 평원도시(平原都市)를 모방하게 되었던 것을 무서운 자연의 힘- 한강의 대홍수로 인하여, “높은 곳으로 피해가자”는 느낌이 굿세게 남아서 이제는 향항(香港)이나 장기(長崎)의 그것과 같이 고지정복(高地征服)을 목표하자는 의견이 대개 유력하여 졌음으로 이 문제에 대하여 각 전문가는 지금 가장 신중히 연구 중이라더라.

● 실현되지 않은 ‘고지 도시’ 계획

1920년대 서울은 이미 인구 증가와 거주할 집 문제로 숨이 가빠지고 있었습니다. 당시 신문에서는 불량주택과 재해로 인한 이재민에 관한 기사가 자주 등장합니다. 도시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지만 하루 아침에 실현할 수 없는 과제였을 겁니다. 그러다 물난리를 겪으면서 기존에 논의되던, 한강변을 중심으로 주거 벨트를 만들자던 계획 대신에 서울의 산과 언덕을 활용해 주거지를 조성하자는 아이디어가 제시된 것입니다.

“평원 도시의 모방을 버리고, 고지(高地)를 개발하자” “런던이나 파리가 아닌, 홍콩과 일본 나가사키가 서울의 모델이다”는 제안이었습니다. 결국 서울은 홍콩형 고지 도시로 변하지는 않았습니다. 대신 제방을 보강하고 한강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도시를 확장해 왔습니다. 그러나 1925년 대홍수 이후 ‘안전한 집’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1930년대 사람들이 꿈꾼 이상적인 주거지

1930년 9월 28일자 동아일보에는 공학사 (工學士) 김윤기가 기고한 “안락의 홈은 어떤 곳에 세울까”라는 글이 실립니다. 여기서 그는 이상적인 주택지를 이렇게 제시합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 대경성(大京城)은 25년 후에는 시내 60만 시외를 합치면 90만의 인구가 된다고 합니다. 주택지를 선정할 때 장래 발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출퇴근하기 좋은 곳을 택해야 합니다.
2. 생활용품을 구하기 쉽고 싸게 살 수 있어야 합니다. 교외가 채소 같은 게 조금 싸고 생활용품은 종로나 본정(충무로)가 좋은 것 같습니다. 도시 중심을 오가는데 편리해야 합니다.
3. 자녀가 있는 곳은 학교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내 학교 교통이 편리한 곳을 선택해야 합니다. 맹자의 어머니가 집을 세 번 옮겼다는 것을 생각하면 학교의 유무가 고려대상입니다.

4. 사람은 언제 질병에 걸릴지 모릅니다. 병원과 약방의 관계를 고찰해야 합니다. 교외의 주택지는 병원 같은 것이 없어서 걱정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5. 교외는 땅값은 비교적 싸나 교통비가 상당히 듭니다. 전차에서 내려서 10분이나 15분 도보로 들어가면 땅값의 차이가 크니 이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6. 지세도 고려해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 조건은 건조해야 하므로 남향의 경사지가 이상적입니다. 얕은 땅은 배수가 나쁘며 습하여 위생에 안 좋고 광선도 얻을 수 없습니다. 서북 방향에 구릉지나 산이 있으면 북풍을 막고 석양의 더운 볕을 가릴 수 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낮고 습기가 있는 지대를 택할 때는 터를 높이 올려야 하고 호수(湖水)、하안(河岸)、조망(眺望)은 좋긴 하지만 겨울철에 몹시 춥고 홍수의 염려가 있습니다.

7. 방향도 중요합니다. 이탈리아 격언에 “광선이 들어오지 않는 집은 의사가 출입한다”는 말이 있듯이 햇볕이 충분해야 가족이 건강합니다. 가족이 거처하는 방은 동남향으로 하고 객실이나 서재는 서북향도 가능합니다.

8. 면적은 위생 측면에서 보면 넓을수록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한정하게 클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전원과 도시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따르면 한 사람 당 40평이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일가족 5명이면 2백평이니 시외면 모르겠지만, 시내 중류계급으로는 불가능하며 현상을 보면 20평 내외 자리도 많습니다. 이상으로 말하면 일반적인 경우 30평이라야 좋을 것입니다. 주택지 모양은 정방형(正方形)에 근사한 것이 좋으며 동서로 장방이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한 마디로 하면 교외면 100평 내외 시내면 50평 내외가 적당할 것입니다 그러고 주택의 건평은 12, 13, 15, 16, 24, 25평까지의 중류 주택이 적당하며 건축법령(法令)에는 원 땅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에 남는 질문

100년 전, 대홍수는 서울 사람들에게 ‘안전한 집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영국과 프랑스의 수도를 꿈꾸던 사람들에게 홍콩과 일본 나가사키가 모델이라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서울은 한강과 함께 살아가는 길을 택했습니다. 올해도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서울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내렸던 100년 전의 결정은 옳은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이 꿈꾸는 ‘안락한 홈’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좋은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시면 좋겠습니다.

#홍수#경성 도시계획#고지 도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