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인식이 커지면서 명절에도 함께 즐기는 소비가 빠르게 늘고 있다. 한복을 차려입은 반려견은 이제 웃음을 주는 ‘명절 풍경’의 일부가 됐다.
■ 왜 반려동물에게 명절 한복을 입힐까
서울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A 씨는 올 추석 대구 본가를 찾는다. A 씨는 고향집 반려견을 위해 온라인으로 한복을 미리 주문했다. 그는 “가족이 한복 차림의 반려견 사진을 보내왔다. 잘 어울렸다. 곧 직접 볼 생각에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공덕의 직장인 B 씨도 부모님 댁에 갈 때 반려견을 동행한다. 이동 거리는 왕복 2시간가량이다. 그는 “부모님이 강아지를 무척 좋아하신다”고 했다. 그는 “올해가 세 번째 한복”이라며 “검은 털에 어울리는 화려한 색 한복을 입은 반려견이 분위기 메이커”라고 말했다.
■ 대형마트부터 생활매장까지…명절 펫 소비 열풍
김수연 기자 xunnio410@donga.com 대형마트와 온라인몰에서도 반려동물용 한복을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지난해 추석 이마트 일부 점포에서는 반려동물 한복이 유아용보다 더 많이 팔리기도 했다. 전체적으로는 유아용 한복 매출의 90% 수준까지 따라붙었다.
생활용품점 다이소 반려견 한복 ‘곤룡포·치마저고리’. 온라인몰에서 품절됐다. 출처=다이소몰 생활용품점 다이소는 곤룡포, 치마저고리 등 반려견 한복과 함께 약과·알밤 모양 장난감, 윷놀이 봉제 장난감을 선보였다. 온라인몰에서는 곤룡포·치마저고리 일부 품목이 벌써 품절됐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는 약 1500만 명에 달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반려동물 제품·서비스 시장이 2015년 1조9000억 원에서 2027년 6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추석을 맞아 반려동물도 한복을 입는 등 명절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반려동물 인구 1500만 명, 시장 규모는 2027년 6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김수연 기자 xunnio410@donga.com ■ “요람에서 무덤까지” 사람과 닮은 상품·서비스로 확대
전문가들은 이 흐름을 ‘펫 휴머니제이션(Pet Humanization)’으로 해석한다.
김종기 동명대 교수는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대하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며, “보호자는 특별한 순간을 반려동물과 공유하려 한다. 명절이라는 맥락이 맞물리며 독특한 소비문화가 형성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MZ세대의 SNS 공유 문화도 수요를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곽영식 경상국립대 교수는 “애완에서 반려로 용어가 바뀐 것은 동물을 ‘말 못할 뿐 인격을 지닌 주체’로 보기 때문”이라며, “명절이라는 시간·장소·상황(TPO)에 맞춰 반려동물도 의식주를 향유하는 소비가 자연스럽게 확산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사람과 유사한 상품·서비스가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