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발전소 붕괴 사고]
시신 3구 수습… 4명은 아직 매몰
기적 생환 기다리지만 골든타임 지나
“남은 타워도 상층부 2m 흔들려”… 내부진입 중지, 인근 타워 정리 작업
과도한 ‘사전 취약화 작업’ 의혹 제기… 상부 아닌 아래부터 철거 정황도 발견
9일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내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이날 오전 발견돼 구급차로 옮겨진 매몰 근로자 김모 씨(44)의 시신에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김 씨는 사고 직후 의식이 있는 상태로 철재에 팔이 낀 채 발견됐으나, 추가 붕괴 우려로 구조가 지연되면서 다음 날 오전 4시 53분 숨졌다. 울산=뉴스1
“구조되기만 가슴 졸이며 기다렸는데.”
9일 울산 동강병원 장례식장에서 만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망자 김모 씨(44)의 아버지는 침통한 표정으로 말했다. 김 씨의 시신은 이날 오전 11시 5분경 수습됐다. 사고 직후 매몰된 그는 의식이 있었고 팔이 철재에 낀 채 발견돼 소방 당국이 구조를 시도했다. 하지만 추가 붕괴 위험으로 작업이 지연되던 중 다음 날 오전 4시 53분 숨졌다. 현장 관계자는 “애끊는 가족들을 생각해 시신만이라도 수습하려 했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이날 김 씨까지 3명의 시신이 수습됐다. 아직 4명이 더 매몰된 가운데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무너진 5호기 인근 4·6호기의 붕괴 우려로 취약화(철거) 작업을 우선 진행하기로 했다. 한편 사고 원인으로 과도한 취약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 “돈 벌며 대학 다닌 성실한 아들” 빈소엔 어린 두 딸
울산화력 붕괴사고로 숨진 김 모 씨(44)의 시신이 안치된 울산 중구 동강병원 안치실. 2025.11.9/뉴스1김 씨의 시신은 사고 나흘 만에 수습됐다. 사고 발생 69시간 만이고, 매몰된 채 사망 판정을 받은 지 약 54시간 만이다. 이날 김 씨의 시신을 수습한 소방관들은 구급차에 탄 시신을 향해 단체 묵념을 했다. 병원에서 만난 김 씨의 부친은 “어릴 때 집안 형편이 어려워 스스로 벌어서 대학도 다닌 성실한 아들이었다”며 “사고 날에도 오전 4시 15분쯤 혼자 아침밥을 챙겨 먹고 첫차를 타고 출근했다”고 했다. 이날 빈소엔 김 씨 아내와 어린 두 딸도 있었다.
현장에는 여전히 4명(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매몰돼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기적을 기다리고 있지만, 9일 오후 2시 사고 발생 72시간이 지나면서 생존 가능성은 급격히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두껍고 무거운 철판과 철근이 겹겹이 뒤엉켜 대형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 구조해야 하는 등 여건이 매우 열악하다”고 설명했다.
결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내부 진입을 일시 중단하고 신속한 수습을 위해 양쪽 타워의 취약화 작업을 우선 진행하기로 했다. 사고가 난 5호기 양옆의 4·6호기는 이미 해체를 위한 사전 취약화가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로, 추가 붕괴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김규용 충남대 스마트건축공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상층부 흔들림은 수십 cm 수준이지만, 이번 현장의 4호기 상층부는 2m 가까이 흔들리고 있어 사람의 접근 자체가 위험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 사고 원인에 ‘과도한 취약화’ 의혹
사고 원인을 둘러싼 의문이 커지고 있다. 일부 관계자와 전문가들은 철거 과정에서 ‘사전 취약화’ 작업이 과도하게 이뤄졌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시공사 HJ중공업의 전 직원은 8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올해 3월 서천화력발전소 철거 실패 이후 이번 현장에서는 계획보다 더 많은 부재를 절단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이전 실패를 의식해 구조 계산서 기준보다 더 많이 자른 부분이 있다”며 “과도한 취약화로 작은 충격에도 구조물이 쉽게 무너질 수 있는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공사가 애초에 정한 철거 공법에서도 문제의 정황이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의원실이 확보한 ‘울산기력 4·5·6호기 안전계획서’에는 ‘구조물 발파 취약화 공법’이 적용된 것으로 돼 있다. 최명기 서울디지털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객원교수는 “울산 보일러 타워처럼 철골 구조물이 많은 구조물엔 다른 공법을 써야 한다”며 “처음 잘못된 방식을 계획한 탓에 이후 철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취약화 작업을 지나치게 많이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문서에 구조물 상부가 아닌 하부를 먼저 약화시키는 ‘하부 우선 취약화’ 정황도 적시돼 있다. 이를 두고도 최 교수는 “취약화 대상과 순서가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아 안전관리의 허점을 드러낸다”고 지적했다. 울산경찰청·울산지검·부산고용노동청은 각각 수사전담팀을 구성해 발주처와 원·하청 간 계약 관계, 공사 지휘 체계, 취약화 및 발파 과정의 적정성 등을 전면 조사할 방침이다.
댓글 0